• 우정호2023.01.11 17:01

    저는 복습하는겸 해서 댓글 올려봅니다. 첫번째 사진의 문제 같은 경우는 부재를 3개가 되도록 잘랐을 경우에 포인트를 찍으실 때는 d부재(상현재)를 제외한 나머지 잘린 부재가 하현부재와 경사부재만 남죠? 하현부재와 경사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 포인트를 찍고 모멘트식을 적으셔야 돼요. 비록 잘린 부재이지만 하현재와 복부재를 잘린 방향에서 점을 찍으시면 딱 정중앙 아래 힌지에 포인트가 찍히게 될겁니다. 거기서부터 기준으로 모멘트 식을 적으시면 +10*4(시계회전)+x*2(시계회전)가 됩니다. 그래서 x값은 -20KN(압축)이 됩니다. 두번째 사진 문제도 위에서 설명드린 내용과 같이 풀이하시면 쉽게 답이 나오구요. 세번째 문제 같은 경우도 똑같이 구하려는 부재의 나머지 부재인 하현재와 복부재가 만나는 지점으로 포인트를 잡고 거기서 모멘트식으로 계산해주셔야 됩니다. 아래에서 내려오는 20의 힘과 a지점 반력으로 80이 작용되기 때문에 상향 80의 힘이 하향 20의 힘을 이겨서 윗방향의 힘으로만 60 남습니다. 그렇게 계산을 하게 되면 +60*3+x*4가 되므로 x값은 -45(압축)KN이 되는 것입니다! 부재를 구할 때의 포인트를 정확히 짚으셔야 오류가 나지 않아요. 부재가 잘렸다고 하더라도 상현재, 하현재, 경사재의 부재력을 구할 때의 짚어야 하는 포인트가 전부 다릅니다. 물론 경사재 같은 경우는 전단력법으로 구해야 합니다. 올려주신 사진의 문제들은 전부 상현재의 부재력을 구해야 하는 문제이고 트러스의 구조를 봤을 때 구하려는 부재와 함께 나머지 2개의 부재도 같이 잘린 상태에서 그 나머지 2개의 부재가 서로 만나는 지점이 있잖아요. 거기가 포인트 입니다. 이해가 안되신다면 안광호 선생님께서 올린 블랙박스 강의 중에 트러스에 출제빈도 13번 트러스 구조해석이라는 강의를 들으시면 훨씬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그 영상 길지도 않아요 꼭 보시길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