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가던 학생입니다. (1) 숫자 하나 안 바뀌고 여러번 출제된 문제라 2, 3, 5를 맞춰서 빠르게 공정표를 그려낼 수 있다고 말씀하셨던 것 같습니다. 만약 표에서 Activity 하나라도 Duration이 바뀐다면 1일씩 단축해가며 풀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2) 해당 문제처럼 급속(Crash) 공기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 공기단축 일수에 대한 제한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기단축은 작업일수의 1/2을 초과할 수 없다”라고 주어지는 겁니다. 극단적인 예시로, 이러한 조건이 없다면 비용구배가 가장 작은 Activity의 작업일수를 0까지 만들면서 공기단축을 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겠죠. 공기단축은 작업일수의 1/2을 초과할 수 없다는 말은, 작업 A의 작업일수가 2일인 경우 1일까지만 단축이 가능하고, 작업 B의 작업일수가 3일인 경우 1일까지만 단축이 가능하다 등 단축일수<(작업일수)/2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ex) 작업 A의 작업일수가 2일인 경우 : 단축일수 < 2/2(=1.0) 즉 1일까지 단축가능, 작업 B의 작업일수가 3일인 경우 : 단축일수 <3/2(=1.5) 즉 1일까지 단축가능인 겁니다. 응원합니다. 같이 합격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