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대기업 건설회사에서 21년을 근무하고 회사사정으로 희망퇴직을 하게 되었습니다.
말이 희망퇴직이지 사실 전체 인원의 90%를 정리하는 조치였습니다. 21년간 대기업
건설사에서 일밖에 모르고 살았던 지난날들이 아무 준비 없이 나온 제에게는 아무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막상 재취업을 위한 구직을 하려다 보니 변변한 자격증하나 없이 대기업
경력만으론 제가 원하는 직장을 다시 얻기 힘들었습니다.
2017년 9월 저는 건축사 자격시험을 응시 했습니다. 그러나 11월 발표한 결과는 1교시만
합격이었습니다. 2016년부터 무척 힘들게 준비했는데... 엄청 실망이 컸습니다. 그러나
낙심만 할 순 없어 바로 건축 시공기술사 준비를 11월 말부터 시작해서 2/4에 시험을
봤습니다.
그러나 너무 늦게 시작한 시공기술사에 자신이 없어 바로 건축기사 준비를 2/8부터 시작
하였습니다. 우선 필기책을 사서 일하면서 언제든 볼 수 있도록 A4 사이즈 앞뒤로 축소
복사해서 보기 시작했습니다. 회사에서 늦은 나이에 기사준비한다고 이야기 하기가 창피
했던것도 작용 했습니다.
건축기사 필기를 준비하면서 구조때문에 많이 좌절 했습니다. 매번 과년도에서 과락이
나오기를 반복하여 답답했지만... 포기하지 않고 이론을 같이 보면서 하나하나 찬찬히
다시 풀어 봤습니다. 계획/시공/구조/건축설비/법규중 매번 가장 점수가 높았던 과목은
역시 시공>법규>계획>설비>구조의 순 이었습니다.
그러나 구조가 과락이 나오거나 평균 60이 되지 않을것 같아 시험 일주일 앞두고 전략을
수정 했습니다.
그 방법은 잘하는 과목은 더 잘나오게... 과락 의심스러운 구조는 과락은 면하게...
그래서 중점적으로 시공, 계획, 구조를 집중해서 봤습니다. 혹시 몰라서 설비도 양념으로
봤습니다. 즉 법규만 빼고 집중관리 하였습니다.
그 결과 필기시험시 계획 95, 시공 100, 구조 90, 설비 80, 법규 65 평균 86점으로 합격
했습니다. 역시 조금이라도 등한시 하면 점수가 떨어지게 되어 있더군요...
그런데 건축기사 필기 합격하는날, 시공시술사도 1차 합격 했다는 통지를 받았습니다.
사실 건축시공기술사는 합격한다는 희망을 갖지 못했거든요. 기쁨도 잠시...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올해는 건축사 준비에 매진하기로 모든 일정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생각지도 못한
시공 기술사 1차 합격 소식에 건축기사는 어찌해야 할까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미 건축기사 시험 끝나지 마자 신청한 건축기사 실기 온라인 강좌를 포기하기
아까웠고, 또 건축시공기술사 면접도 한번에 합격한다는 보장도 없어서 계속 건축기사
실기준비를 계속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병행해서 시공기술사 면접준비도 같이 하게되었
습니다. 그러나 하루 하루 시험날짜가 다가 올수록 너무 힘들었습니다. 일도 해야지...
면접 준비도 해야지... 건축기사 실기도 준비해야지... 하루하루가 너무, 너무 힘이들었
습니다. 그래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준비해서 면접을 마무리하고, 일주일동안 실기
준비도 착실히 하여 실기 시험도 보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5/18에 발표한 건축시공기술사에 최종 합격하였고, 5/25 뒤이어 발표한 건축
기사도 최종합격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가벼운 마음으로 건축사 준비에만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상이 전체적인 흐름이었조 저의 건축기사 준비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건축기사 필기
- 과년도 위주로 우선 최근 3년치를 그냥 푼다.
- 틀린문제와 잘 모르는 문제를 위주로 이론과 해설을 공부한다.
- 다시 10년치 과년도를 푼다.
- 10년치 문제의 틀린문제와 모르는 문제 위주 다시 이론을 공부하여 보강한다.
- 최종 틀린문제 위주로 3~5회 반복한다.(일반은 3회, 구조는 5회 반복함)
2) 건축기사 실기
- 네트워크 공정표는 반드시 잡고 간다.
유형별로 한번씩 풀고, 반드시 과년도 3년치 모르는 부분 없도록 공정표 연습
- 적산은 실무와 다른부분이 있으니, 실무와 다른부분을 확인하여 책의 순서대로 반복함
- 건축시공은 단답형은 용어가 틀리지 않도록 틀린부분 반복해서 써보고, 서술은 핵심
키워드 위주로 써봄
- 구조는 안광호교수님 강의를 반복해서 보면서, 단원별 핵심문제는 반드시 풀어봄
- 최종 반복해서 5년치 틀린문제만 반복해서 풀어봄.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