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을 더듬어 쓰느라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금 하는 사업에 필요하여 건축기사 자격증에 도전하기로 한다.
비전공자에 내 나이 49살... 하~, 할 수 있을까...??
1. 필기
2016년 년말에 2017년 1차 필기합격을 목표로 한솔교재 '건축기사 4주완성' 필기책을 구입하여 준비 시작.
1월 중순부터 일단 모든 문제를 풀어서 출제 유형을 파악하고 답을 외우기 시작, 채점은 하지 않음. 답이 이해가 안 되거나 체계적인 암기가 필요한 사항은 해당 본문을 정독하여 암기.(1회독)
2월에 문제를 다시 풀어 틀린문제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표시.(2회독)
시험을 앞두고 틀린 문제와 중요한 문제위주로 정독.(3회독)
건축구조외 어려움 없이 준비하여 턱걸이(62점)로 필기 합격.
약 8주 정도 준비했는데 이 기간에 건축구조까지 충분히 준비하기에는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여, 과락만 면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준비.
나이 먹고 처음 보는 시험이라 시험 당일날 공학용 계산기는 집에 두고 입실. 하~
운이 좋게도 계산문제는 포기하고 나머지 문제로 과락 면함.(하지만 절대 따라하지 마셈!)
2. 실기
2017년 2차 실기를 목표로 인터넷 카페 등에서 몇몇 후기를 읽고 본격적으로 실기 시험 준비에 돌입. 실기도 한솔교재를 택함.
하지만 방대한 시공의 학습량에 멘붕! 구조역학의 어려움에 또 한 번 멘붕!
적산과 공정은 손대 못댄채 시간은 무심하게 잘도 흐른다~
회사일도 바쁘고 시험 준비도 제대로 안되어 2017년 2회, 4회 실기시험은 원서접수도 못하고 그냥 보냄. 이대로 안되겠다 싶어 독하게 마음 먹고 2017년 12월 부터 다시 준비 시작.
다른 과목은 아직 손도 못 대고 배점이 가장 많은 시공을 17년 12월에 1회독, 18년 1월에 2회독 정독하여 어느 정도 기초를 다짐.
2월 부터는 한솔 인강 종합반을 신청하여 적산과 공정, 구조역학을 준비.
하지만 이때까지도 시공은 풀어도 풀어도 또 틀리지, 적산의 학습량에 놀라고, 네트워크 공정표는 그려지지 않지, 역학문제는 아예 손도 못대지...
수험 기간동안 제일 힘들던 시기로 어떻게 이 난국을 파헤쳐 나가나...
어떻게든 60점만 맞으면 되니까, 전략을 다시 세움
아래와 같이 출제비중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목표 재설정.
시공: 60점 중 42점
공정: 10점 중 10점
적산: 8점 중 2점
품질: 3점 중 2점
구조: 19점 중 13점
--------------------
100점 중 69점은 맞아야 안정권이라 생각하여 학습량과 목표를 수정. 시험 한달정도 앞두고는 보통 8~9시간 정도 공부했고, 과목별 학습량은 목표점수 비율로 배분하여 공부.
시공은 교재전체의 37개 단원 중 2단원씩을 매일 공부하여 지리하게 반복학습. 학습과정 중 헷갈리는 용어, 매번 틀리는 시공순서와 끊임없이 괴롭히는 숫자들은 별도로 정리하여 들고다니면서 암기. 몇 번을 봤는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반복. 머리가 굳어서 그런지 진짜 안외어지더라구요. 이 글을 읽는 20~30대 분이 있으면 수험생활은 40대에 하지 마시길 권합니다.(웃음)
공정은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하지 못하면 합격은 요원하다 생각하고 비장하게 똑같은 강의를 2~3번 반복하여 이해하고, 수십번의 연습 끝에 자신감을 가짐. 기억을 더듬어 보면 3회독 까지도 점수가 안나왔는데, 4~5회독 부터는 술술 그려내는데 내 자신도 신기할 정도.
적산은 처음에 만만하게 봤다가 큰 코 다친 경우. 의외로 학습량이 많은 반면에 공부시간 확보가 안되어 중간에 포기아닌 포기를 할 수밖에 없었음.
품질은 강의 한번 듣고 2~3일 간격으로 복습해서 크게 어려움 없이 준비. 학습량이 얼마 안되고 난이도도 어렵지 않으니 효자종목.
구조역학! 하~ 구조역학!!
대략 20점 중에 반타작만 하자고 마음먹고 준비. 구조역학은 강의를 들어도 들어도 이해가 안 감. 과감히 포기하고 RC구조와 강구조에 집중하여 모든 문제와 풀이과정을 따로 정리하여 통째로 암기. RC구조 공식만 1회독 하는데 처음에는 4~6시간 걸리던 것을 반복하여 30~40분으로 줄이니 문제가 풀리기 시작. 문제는 풀리는데 단위를 못 적어 한동안 멘붕. 어쩔수없이 단위까지 닥치고 암기. 이렇게 하루 3~4시간 졸린 눈 비비며 준비했는데 이번 시험에서는 RC구조와 강구조 계산문제 비중이 적어서 허탈했음.
시험 일주일 전부터는 1일 1회 모의고사 보고, 서브노트 중심으로 마무리. 기출문제로 모의고사를 봐서 그런지 평균 70점 정도 나와서 내심 마음 편하세 시험일을 맞음.
제 채점으로 실기 점수는 시공 47, 공정 10, 적산 0, 품질 4, 구조 10점 합계 71점 합격.
전공자나 머리 좋으신 분들은 독학으로 가능하시겠지만 그렇지 않으신 분들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학습량를 줄이고 공부시간 단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이자리를 빌어 많은 도움을 받은 안광호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이상으로 두서없는 제 수기를 마치고자 합니다.
사족: 교재 오타 내용을 첨부하오니 다음 교재는 잘 정리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