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산업기사 합격수기 올립니다.
(건축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에 비해 산업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이 적어서 제 수기가
조금이라도 도움되길 바랍니다.)
저는 안전직렬 업무담당 직장인으로서 건축, 토목 비전공자이지만 기본적인 시공 지식은
알아야겠다고 개인적으로 욕심이 생겨서 건축산업기사를 준비하였습니다.
안전분야 기사자격증들이 있어서 건축기사도 도전할 수 있었지만 아무래도 건축구조의 진입장벽이 높게 느껴저서 산업기사를 준비하였습니다.
아무래도 건축기사를 준비하는 수험생이 많고 산업기사는 실기 출제방식이 바뀐지 얼마 안되어
기출자료와 합격수기가 부족해서 저만의 학습방법을 수립했습니다.
별도 인강은 없이 한솔 교재와 요약본을 개인적으로 작성하여 공부하였고
필기와 실기 모두 한번씩 고배를 마신 경험으로 각각 2트에 최종합격했습니다.
■ 필기 공부 : 한솔아카데미 건축산업기사 7개년 기출문제, CBT모의고사 활용
- [1회차] : 24년 2회차 시험 건축구조 35점 과락(나머지 과목은 이상없음)으로 불합격
기간만료로 나머지 과목 점수는 찍은 사진이 없습니다.
구조가 발목을 잡아서 2회차 준비시에는 한솔아카데미에서 제공하는 모의고사에서
구조를 집중적으로 학습했고, 정말 안되는 부분은 해당 문제와 풀이방식을 암기했습니다.
- [2회차] : 24년 3회차 시험(계획,시공,구조,설비,법규 순 : 65/90/70/65/55) 합격
■ 실기 공부 : 한솔아카데미 건축산업기사 실기, 블랙박스(합격수기 사은품)
+ 건축기사 기출문제는 2회차 재수할 때 10개년(시공분야) 재학습
- [1회차] : 24년 3회차 필기합격하자마자 실기책을 구매하여 기출문제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시공분야는 상대적으로 해볼만했지만 범위가 방대하여 시간을 투자하고,
망각주기를 고려, 안외워지는 부분은 포스트잇으로 가려가면 암기했습니다.
공정과 적산은 기본적인 문제는 풀 수 있을정도만 하고 풀이가 난해한 부분은
과감히 배제했습니다.
시험 직후 가채점했을 때에는 60~63점 예상했으나 58점으로 아깝게 떨어져서
오기가 생겨 다시 공부하였습니다. 이때는 건축기사 실기문제를 별도로 하지
않았지만 복기문제를 보고 건축기사 실기에 나온 문제도 조금 있어서
전략을 다시 세웠습니다.
- [2회차] : 기존 산업기사 기출문제는 단어 하나하나 정확히 외우고 무조건 맞추도록 학습했고,
추가로 건축기사 기출문제 10개년(시공분야)를 전체 훑어보고 중복되는 부분은
리스트로 요약정리했습니다. 시공 범위가 방대하여 공정표나 적산에서 만일을 대비해
감점당해도 시공에서 다 맞겠다는 방향으로 공부했습니다.
25년 1회차 시험 후 가채점 결과 58~63 예상하여 보수적으로 가채점시 불합격할수도
있어서 많이 걱정했는데 최종 결과 63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이번 필기, 실기를 준비하며 느낀 것은 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필기는 기출문제를
정확히 숙지하고 시공,계획 대비 구조에 약한 분들이 대다수일것으로 충분한 시간을 두고 구조에
집중해서 과락을 방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기의 경우 산업기사 기출은 기본으로 완벽하게 암기해야되고,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도
반복되는 부분은 꼭 학습해야합니다. 그리고 만점방지용 문제로 최근 트렌드가 건축공사 공정별
표준시방서(KS)에서 임의 출제되는것을 확인하여 최신기출문제는 꼭 암기해야 합니다.
자기계발과 건축분야에 대한 기본을 달성한 것에 의의를 두고 최종합격수기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