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아래 질문에 대한 답변에 추가 질문이 있습니다.
https://archi.inup.co.kr/mypage/qna_view.jsp?id=159966&
답변에서 아파트의 스프링클러 설치 기준개수가 10개라고 답변 주셨는데, 계산에서는 N을 30으로 설정하고 풀이해 주셔서 저수량을 48m^3으로 말씀해 주셨습니다.
기준개수가 10일 뿐, 그 이상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된다면 그에 맞춰서 N값을 늘려 주어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저수량 = 1.6*N 의 식에서
설치개수 < 10 인 경우 -> N = 10 으로 계산
10 <= 설치개수 인 경우 -> N = 스프링클러 수
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에듀윌 건축기사 교재로 공부하다 한솔로 바꾸었는데, 에듀윌에서는 같은 문제를 N = 10으로 계산하여 답을 16M^3으로 풀어서 혼란이 생겨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답변입니다.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 스프링클러 설치장소별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개수[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아파트의 경우에는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세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설치개수를 말함)]에 1.6㎥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할 것
[문제] 아파트의 각 세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30개 설치한 경우,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의 저수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단,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한 경우) 20건축
① 12m ② 24m
③ 36m ④ 48m
[해설] 수원의 수량 = (스프링클러의 표준 방수량)×20분×(동시 개구수)
= 80L/min×20 min×N = 1.6 N [㎥] (N은 10개, 20개, 30개)
∴ Q= 80L/min×20min×30 = 48,000L=48㎥
※ 스프링클러 설치장소에서 아파트의 기준개수[표]는 10개로하나 상기 규정에서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세대 30개로 적용합니다.
당시 관리공단의 답도 48㎥ 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