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p637 8번,9번
선*원2018.05.02답변완료

 

[첫번째 질문] 8번에서 이렇게 푼 다음 근사값으로 답 도출해도 맞는건가요?

 

 

[두번째 질문]9번에서 문제조건의 냉방시 송풍량 구하는 공식이 현열부하만 이용하는데, 난방시에도 동일한 공식 적용하면 되는건가요.? / 그렇다면 송풍량 구할때 잠열부하는 고려 전혀 안해도 되는건가요 ?

답변남재호2018.05.04 00:06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입니다.

1. 현열부하 계산시 약산식에서 상수값 0.34는 다음과 같이 해서 나온 값으로

0.34 = 공기의 비열×밀도×1,000(J/KJ)÷3,600(s/h)

= 1.01kJ/kg․K×1.2kg/m³×1,000(J/KJ)÷3,600(s/h)

= 0.336W․h/㎥․K

≒ 0.34W․h/㎥․K

근사치이므로 약간의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약식으로 쓰는 경우에 활용합니다만

교재의 해설과 같이

1W=1J/s=3,600J/h=3.6kJ/h

1kW=3,600kJ/h 이므로

먼저 kJ/h로 계산을 하고, 요구하는 단위가 W나 kW 일 때는 단위를 환산하는 방법으로 합니다.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환산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8번 경우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풀이하고

9번 경우는 공기의 정압비열 1.21kJ/㎥.K을 적용하여 푼 경우(약식 계산, W를 적용)로 출제한 경우의 문제의 예가 되겠습니다.

 2. 실내에 공급되는 송풍량은 실내에 발생한 부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급하는 공기를 말하는 것으로 송풍량의 계산 방법으로 현열부하, 잠열부하, 전열부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만 각각 약간의 오차가 발생합니다. 그 관련 공식은 본 동영상강의(송풍량 계산)에서 소개드리고 있습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현열부하를 이용하여 송풍량을 구합니다.

현열부하로 하는 이유는 공조부하 계산시 실내의 온도를 기준으로 해서 공조설계를 많이 하기 때문입니다.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내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