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단열성능을 위해서는 비중이 작은 재료 사용?
이*주2025.03.09답변완료

2024년 건축설비 p479 3번문제문제

정답 : 공극률이 크고 가볍되 방수성의 재료가 좋다.

공극률이 크며 빈공간으로 대류 현상이 많이 일어나는거 아닌가요 ? 그럼 열전달전도현상이 증가되어 단열성능이 좋지않지 않은거 아닌가요? 공극률과 열관류율 관계 설명듣고싶습니다

답변오호영2025.03.10 12:24

안녕하세요.

한솔아카데미 강사 오호영입니다.

 

<건축법상 단열재 부위별 열관류율>

예)

중부1지역 - 거실의 외벽- 0.15w/㎡·k 이하(두께 220mm)

남부지역 - 거실의 외벽- 0.22w/㎡·k 이하(두께 145mm)

 

벽체두께는 크게, 열전달율은 최소화,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를 사용 하는 것이 단열효과가 좋습니다.

 

 

<열전도율 기준>

예)

가 급 – 비드법 보온판 2종 (1호~4호 숫자가 적을수록 밀도가 높음)

(열관류율 낮은 단열재)

다 급 – 비드법 보온판 1종 (1호~4호 숫자가 적을수록 밀도가 높음)

(열관류율 높은 단열재)

 

위 단열재에서 호수(1호~4호)가 높을수록 알갱의 크기가 커지고 밀도가 낮아져 단열성능이 떨어지며, 호수가 낮을수록 밀도나 단열성능이 좋은 단열재라 할 수 있으며, 공극률의 경우 이러한 밀도와 관련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