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 page - 1번 2번 풀이식에서 물의 팽창비율 = (1/급탕밀도 - 1/급수밀도)*100
이라고 풀이했는데 저 값 전체를 분모 [1/급탕밀도] 로 다시 나누어 줘야
비율이 되지않습니까?
77 page - 4번문제 가열열량보단 시간당 가열열량 이나 급탕부하라고 표현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시간당 열량은 일률의 개념이니깐요..
78 page - 10번문제 ①급탕단위에 의한 방법이란게 뭔지요? 이론에 없는 지문이라서..
124 page -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등으로 명명하는데
교재처럼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이라고도 불리는 건지??
140 page -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기준에서 아파트의 경우 수평 유효반경이
24년에 2.6m로 변경되었다고 책에서 나오는데 강의는 3.2m라고
가르치고 있네요
안녕하세요.
한솔아카데미 강사 오호영입니다.
1.제시된 지문 조건에 20℃-998kg/㎥, 80℃-972kg/㎥로 제시된 지문 조건에 따라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계산을 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2.급탕부하의 경우 시간당 필요한 온수를 얻기 위해 소요되는 열량이며 본 문제의 경우 가열량을 찾는 문제이기 때문에 급탕부하 공식으로 계산 할 경우 답을 찾을 수 없는 문제입니다.
3.급탕단위에 의한 방법은 중앙식 급탕에 있어 급탕량 산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각종 기구의 유량을 단위화한 것으로 기구 종류나 건물 종류별로 규정 하고 있습니다.
4.BOD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5.아파트 스프링클러 헤드 살수 반경은 2.6m 이며, 강의 내용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