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몇 가지 질문이 있어 글 남깁니다.
(1) 2020년 1회 건축기사 10번에서 압밀의 핵심키워드는 "점토지반, 흙속의 간극수 제거, 압축"이고 다짐의 핵심키워드는 " 사질, 공기가 빠지면서 압축"이라고 보면 될까요?
(2) 2020년 1회 건축기사 12번에서 매스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을 위한 3가지 대처방안으로 "단위시멘트량을 낮춘다. 저열성 시멘트를 사용한다. 프리쿨링, 파이프쿨링과 같은 온도균열 제어방법을 사용한다."를 작성하면 되나요?
(3) 2020년 2회 건축기사 15번에 "섬유 포화점은 목재의 함수율이 30%정도 일 때를 말하며 ,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강도가 일정하지만 이하가 되면 섬유포화점이 감소할수록 강도가 증가한다. "라고 적으면 점수를 다 받을 수 있나요?
(4) 2020년 5회 건축기사에서 백화현상에 대해 설명하라고 하였는데, 해답에는 "흰 결정체"라고 마무리를 짓습니다. 흰 결정체가 생기는 현상이라고 끝을 지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이상입니다. 매번 친절하게 질문에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네~
2. 저열성보다는 저발열 시멘트로 해주세요~
프리쿨링 파이프쿨링은 별도 구분해도됩니다,
프리쿨링은 재료냉각, 파이프쿨링은 내부 수화열 저감을 위한 관로식 냉각입니다.
> 2번내용 모두 문제는 없습니다.
3. 점수인정됩니다.
섬유포하점이하에서는 수분이 줄어들면서 목재는 강도가 올라갑니다. 그래서 건조가 중요합니다.
4. 흰결정체(백화), 흰결정체가 생기는 현상(백화현상)
맞습니다. 문맥상 더 확실한 답입니다. 정답인정에는 둘다 문제는 없지만 현상으로 적는게 더 낫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