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기타문의] 시공 시공(2013년, 2024년)
유*영2025.04.03답변완료

안녕하세요.

(1) 2013년 2회 건축기사 7번에 연직배수공법(탈수공법)으로 pack drain, prefabricated vertical drain 대신 웰포인트 공법이랑 생석회 공법 사용해도 되나요?

(2) 2013년 2회 건축기사 11번 해답에 있는 방안 3가지(p.101)가 히빙, 보일링 둘 다에 해당되는 방지대책 인건가요, 아님 1,2는 히빙에 3은 보일링에 해당하는 방안인건가요? 그리고 히빙의 방지대책으로 "배수공법을 이용하여 지하수위를 저감시킨다."는 틀린 건가요?

(3) 2013년 4회 건축기사 7-(2)번에 방호선반(p.111)을 망이라고 표현해놓았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답변백종엽2025.04.03 12:19

1. 연직배수공법(탈수)

샌드, 페이퍼, 팩, PVD드레인 4가지 입니다.

웰포인트 생석회도 탈수에 해당이 되기도하지만~~ 일반적으로 웰포인트는 배수공법, 생석회는 고결공법으로 더 통용됩니다.

샌드드레인 페이퍼 드레인 팩드레인 PVD드레인으로암기하세요~~

 

2. 히빙과 보일링의 대책이 거의 유사합니다. 다만, 히빙은 중량차감소, 보일링은 지하수위 저하 부분이 핵심이지만~~

히빙에서도 배수가 중요합니다.

교재에서는 정확히 구분을 해놓았지만~~실제시험장에서는 둘중 한가지만 묻기때문에~~큰 문제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수강하시는 분들이 혼선이 있을것 같아서 세부 구분을 한것입니다.

(공통사항만 암기: 흙막이벽 근입장 증가, 굴착배면 지반개량실시, 굴착예정지반 지반개량을 통해 전단강도 증대)

그외 배수공법이용 지하수위 저하도 공통사항입니다.

3. 네 참조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