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안녕하십니까! 토공사 적산 문제와 관련하여 여쭤볼 것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사진에 첨부한 두문제의 차이는 문제의 조건에서 주어진 터파기 흙의 상태가 자연상태이냐 아니냐인 것 같습니다.
8톤트럭대수를 구하는 부분에서 8번 문제의 경우 문제에서 터파기한 흙이 자연상태가 아닌 흐트러진 상태의 12000m^3으로 표현되고있는데 트럭대수를 구할때 토량환산계수(L=1.25)를 왜 또 한 번 더 적용하여 운반대수를 구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먼저, 두 문제에서 터파기한 흙은 자연상태의 흙을 말하며, 터파기한 흙의 부피가 증가하므로 L값을 고려하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운반대수 산출시 터파기한 흙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흙의 단위중량을 기준으로 산출합니다.
즉, 흙의 단위중량이 흐트러진 상태의 단위중량으로 주어지면 8번 문제의 (1)의 방법으로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흙의 단위중량이 자연상태의 단위중량으로 주어지면 9번 문제의 (1)과 같은 방법으로 산출하시면 되겠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