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회 공정표 문제 질문입니다
위에 D는 넘버링 더미인데 왜 TF FF DF가 202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풀이영상에서도 넘버링 더미라는 것을 얘기 안해주시고 TF FF DF가 202라고 하시는데 년도 기출문제 공정표를 풀때는 항상 넘버링 더미라 결합점에서 풀어야한다고 하십니다 너무 혼란스럽습니다
이 사진은 2020년 2회 공정표 문제입니다
여기서 c는 넘버링 더미라 위에 쪽 결합점으로 계산하여
C의 TF FF DF값이 2 2 0 입니다 똑같은 모양인데 왜 2018년 1회랑 2020년 2회랑 다르게 TF FF DF가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제 생각이는 오류같은데 답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화살표형 네트워크 공정표를 그리다보면 로지컬더미(Logical Dummy)와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 두개만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두개만 구분한다면 여유시간 계산에 혼란은 없을 것입니다.
동그라미로 표현되는 이벤트에서 실선의 화살표 없이 단 하나의 더미만 발생하는 경우는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입니다.
오직 이 경우에만 해당작업의 여유시간 계산은 바로 다음의 이벤트에서 계산한다고 기억해두시고, 나머지 경우는 해당작업의 종료이벤트에서 여유계산을 합니다.
나머지 경우라는 것은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가 아니라 로지컬더미(Logical Dummy)라는 것입니다.
올려주신 첫번째 그림파일에서 발생된 4개의 더미는 모두 로지컬더미(Logical Dummy)입니다.
D작업의 여유계산은 3번결합점, E작업의 여유계산은 5번결합점이겠죠?
올려주신 두번째 그림파일에서 발생된 4개의 더미는 모두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입니다.
C작업의 여유계산은 2번이 아닌 3번결합점, F작업의 여유계산은 5번이 아닌 6번결합점이겠죠?
참고로,,,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의 관계를 갖는 작업은 상호간 바꾸어서 그려질 수 있는 관계입니다.
이럴 경우
(1) 주공정선상의 작업들은 달라지지 않으며, 결합점에서의 일정표현은 달라질 수 있다.
(2) 주공정선상의 작업들 이외의 나머지 작업들의 여유시간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
위의 두가지 사항 또한 잘 기억해주시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