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탄성한계점과 강재의 표기와 관련하여 질문 있습니다.
노*훈2025.04.16답변완료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강의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

 

탄성한계점과 비례한계점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사진에 나오는 문제는 바이블 1권 85페이지의 문제입니다.

(제가 현재 군인이라 문제집을 스캔하지 못하고, 인터넷에 있는 같은 기출문제의 사진을 가져왔습니다.)

문제에서는 1번점이 "비례한계점"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6번 영역을 보면, 탄성영역을 표시하는 점선이 1번점을 통과하기 때문에 1번점은 "탄성한계점"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2. 형강의 단면을 스케치하고 치수를 기입하는 문제에서, 디멘션(수치표시선)을 형강의 오른쪽/왼쪽/위/아래 어디에 표시하든 상관이 없는 것일까요?

교재에서는 H를 왼쪽에 표현하는 경우도 있고, 오른쪽에 표현하는 경우도 있어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항상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안광호2025.04.16 23:46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시험에서 출제되는 그림과는 달리, 실제로 강재의 응력변형률선도는 그림보다 더 y축으로 뾰족한 형태가 나타나며 동그라미1번과 동그라미2번의 간극은 대단히 좁게 나타납니다.

또한 비례한계점(동그라미1번, 이하 1번)까지는 명확하게 나타나며, 탄성한계점과 상항복점 및 하항복점이 매우 불분명하게 나타나며 이것을 항복강도(동그라미2번, 이하 2번) 하나로 처리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원점에서 1번까지는 응력과 변형률이 완전 직선비례(linear)하게 되며 완전한 직선비례의 한계점이 비례한계점(Proportional Limit Point)이라고 정의되고, 원점으로부터 비례한계점까지의 1차직선의 기울기를 탄성계수(Elastic Modulus)라고 합니다.

1번에서 2번까지 탄성한계점, 상항복점, 하항복점이 있다고 했을 때 

1번에서 탄성한계점까지는 비탄성(inelastic)이라고 하여 직선비례가 아닌 비선형(Nonlinear)의 형태가 나타나지만 하중이 제거되면 형태는 어쨌든 돌아오게 됩니다. 

탄성한계점 이후부터는 하중이 제거되어도 형태가 돌아오지 않는 소성영역이 시작됩니다.

1번을 탄성한계점이라고 할 수 없는 점을 말씀드리고 있는 것이며, 탄성한계점은 1번과 2번 사이에 있는데 매우 불분명하고 탄성한계점과 상항복점 및 하항복점을 구분짓는 것이 대단히 힘들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해서 말씀드려봅니다.

(2) 정자체로 똑바로 쓴 첫번째 H는 H형강에서만 나타내는 기호이고,

우사체로 기울여서 쓴 두번째의 공통된 H들은 단면의 높이 Height의 H입니다.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