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29번을 풀던 중 의문이 들어 질문을 남깁니다.
1. 29번 2번 보기
제가 책에서 본 콘크리트 관련 시험은
시멘트 시험, 시멘트 분말도 시험, 골재 시험, 콘크리트 비파괴 시험, 콘크리트 workability 시험 정도이고
콘크리트 시험은 압축강도 시험 외에는 책과 강의에서 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 보기에서 공기량 측정기가 나왔더라고요.
공기량 측정 시험이랑 같은건지는 모르겠지만 브레인법 공기투과 장치로 시멘트 분말도 시험을 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겠죠?
콘크리트 시험이라고 하면 어떻게 답을 해야하는건지, 어느 부분을 참고하여 학습하는 것이 좋을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29번 4번 보기
교재에서 토질시험이 직접전단시험, 일축압축시험, 삼축압축시험 3가지가 나와있었는데, 테너트로 미터는 어디에 사용되는 기구인지 궁금합니다.
3. 문제 7번에서 토질 시험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이 보기 3번 베인테스트라고 하는데, 교재 90페이지에서는 베인 테스트가 토질시험의 직접 전단시험으로 '현장 전단시험인 Vane Test가 있다'고 적혀있어서 혼란스럽습니다.
문제가 잘못된걸까요 교재 개념이 잘못된걸까요?
답변입니다:
1)질문하신 첫번째 문제는 시험과 관련된 대표적인 문제로 문제유형이 거의 없는 문제입니다,,그런데 한문제를 대비하시기 위해서 여러가지 콘크리트 관련문제를 모두 학습하시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 이겠지요,,/기사시험 이외에 다른시험을 대비하시는 것이 아니고 기사시험을 대비하시는 경우에는 이문제의 틀린 내용만 학습을 해두시면 되겠습니다../콘크리트 시험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시려면 콘크리트 기사책이나 재료시험 기사책과 방대한 KS에서 정한 시험규정을 학습하셔야 합니다..참고하세요../페네트로 미터는 실내 CBR시험 등에서 관입된 깊이를 측정하는 기구입니다..참고하세요..
2)상당히 많이 질문을 하시는 내용입니다..토목기사에서는 토질시험의 개념을 정확하게 준수하여서 출제가 되는데요..건축기사 시험에서는 토질시험이라는 의미를 괸장히 확대해석 하여서 출제됩니다,,따라서 문제를 풀어보시면 굉장히 혼돈이되지요,,질문하신 6번 문제는 답이 명확한데요...7번문제는 토질시험과가장 관계가 적은것은 ? 질문했는데요,,실제는 모두 토질시험의 일종인데 그 성격이 다른것을 질문하고 있습니다../베인테스트는 실외에서 시험하는, 원위치 시험항목이고,나머지는 실내 토질시험 입니다...참고하세요..이렇게 건축쪽에서는 개념없이 토질시험을 질문하기 때문에 문제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는 모순이 있습니다..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