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초적인 질문입니다만, Mpa 과 N(뉴튼)을 어느 때 적용하는지요?
객관식 문제에서는 크게 의미가 없었는데, 막상 실기시험을 앞두고 혼란이 오고 있습니다.
문제를 풀고나서는 어느 단위를 써야하나 고민입니다.
온라인 강의에서와 같이 교수님의 명쾌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실기시험에 출제되고 있는 주요 지표들을 열거하고 단위를 살펴보겠습니다.
구조역학
(1) 지점반력: 수직반력(N), 수평반력(N), 모멘트반력(N.mm)
(2) 전단력(N), 휨모멘트(N.mm)
(3) 트러스 부재력(N)
(4) 단면1차모멘트(mm^3), 단면2차모멘트(mm^4), 단면계수(mm^3), 단면2차반경(mm)
(5) 응력(MPa, N/mm^2), 휨응력(MPa), 전단응력(MPa)
(6) 탄성계수(MPa)
(7) 처짐각(rad, 라디안), 처짐(mm)
RC구조
(1) 총처짐(mm)
(2) 파괴계수(MPa), 균열모멘트(N.mm)
(3) 기둥의 설계축하중(N)
(4) 콘크리트 공칭전단강도 및 설계전단강도(N), 전단철근 공칭전단강도 및 설계전단강도(N)
(5) 기본정착길이, 정착길이(mm)
(6) 콘크리트 공시체의 압축강도(MPa), 인장강도(MPa), 휨강도(MPa)
강구조
(1) 인장재 순단면적(mm^2)
(2) 인장재 설계인장강도(N)
(3) 고장력볼트 설계미끄럼강도(N), 설계전단강도(N)
(4) 좌굴하중(N)
(5) 필릿용접 설계강도(N)
(6) 구조용강재 뒤에 붙는 숫자는 MPa, SM355에서 355는 항복강도 355MPa
위의 지표들을 먼저 정리하시고, 추가적으로 모르는 지표들에 대한 단위를 정리해나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