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슬럼프 저하라는 용어, 이해가 안됩니다.
강*성2018.06.22답변완료

10년도 3회 실기 9번문제

하절기 콘크리트 시공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쓰라는 문제인데요.

교재 답안에 슬럼프 저하 발생으로 충전성 불량, 표면마감불량발생

이런 표현이 있습니다.

슬럼프값의 저하라는게 어떤 의미일까요

요구하는 적정 슬럼프값에서

슬럼프값이 작아졌다는 말인지 커졌다는 말인지 헷갈리네요.

제 생각에는 

슬럼프값이 커지면 콘크리트가 물이 많아서 무른 상태이니 거푸집에 충전이 잘될꺼 같고

슬럼프값이 작아지면, 표면마감이 매끄러워 질꺼 같은 느낌인데요.

답변한규대2018.06.23 18:42

답변입니다;*일단 이 용어는 용어설명으로 두번 출제가 되어서 콘크리트의 용어설명 부분에 설명이 되어있는 용어입니다.그 내용하고 똑같은 뜻이구요,/슬럼프 저하란 여름철(서중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온도가 높아서 급격한 증발,수화작용,운반시간의 과다로 인해서 처음의 슬럼프값(수치)가 작아지는(감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슬럼프 저하,혹은 슬럼프 손실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여름에는 슬럼프가 작아져서 충전이 안 되거나,마감이 불량해 지거나,혹은 펌프압송이 잘 안되고,펌프가 막히는 현상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