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축계획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교통시설지역과 사무실지역은 다른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3중지역배치는 바닥면적이 큰 대규모 사무소 건축에서 편심코어나 독립코어를 적용하면 동선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어 중앙에 교통시설을 배치하고 주변으로 사무실을 배치함으로써 복도가 2개 이상이 만들어지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교재의 내용과 문제의 내용은 표현은 달리 했지만 같은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 엘리베이터와 출입구가 근접해 있지 않도록 한다는 의미는 엘리베이터와 현관이 가까이 있되 너무 바싹 접근해 있지 않는다는 의미로 법적으로는 2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3) 층고를 낮게 할 경우 구조부재의 크기 즉, 기둥이나 보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4) 149번 문제는 틀린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장점이 아닌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조닝을 많이 할수록 경제적인 효과가 커지지만 경제적인 효과만 높이기 위해 조닝을 많이 하면 1존의 거주인구가 적어지고 임대할 수 있는 각각의 공간 규모가 작아지기 때문에 장점이 아니라 단점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5) 해설에 오류가 있네요. 4번이 정답입니다.
6) 지하주차장의 주차단위는 기둥간격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지하주차장의 주차단위가 기준층의 평면형태를 결정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즉, 기둥간격은 주차단위를 포함해서 여러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정하고 기준층의 평면형태는 기둥간격을 포함하여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정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차단위와 기둥간격, 기둥간격과 기준층의 형태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지만, 주차단위와 기준층의 평면형태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7) 95번 문제는 정답이 없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