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RC 보 설계에 관하여 질문있습니다.
박*수2018.10.25답변완료

안녕하세요

RC보 내용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RC휨부재의 기본해석에서 중립축거리에따른 콘크리트,철근의 변형률에대한

직선비례그래프가 나오는데, 콘크리트 극한변형률(Ec)은 0.003으로 고정이고 유효깊이(d)-중립축거리(c), 즉 중립축에서 최외단 인장철근까지거리는 중립축거리(c)보다 작을텐데 그렇다면 철근의 극한변형률(Es) 는 항상 0.003이하가 되어야하는게 아닌지

2. RC보가 보 상단 콘크리트 압축력으로 파괴될 때, 보하단 철근이 인장력으로 동시에 파괴되는것 으로 설계가 되었다면 파괴될때의 철근의 인장강도는 극한강도로 보아야하는지 항복강도로 보아야하는지

3. RC휨부재 관련 문제를 풀다보니 항상 철근의항복강도(fy)가 주어지는데, 중립축거리-콘크리트,철근의 변형률에 대한 직선비례그래프에서 철근의극한 변형률=fs/Es 입니다.(fs가 극한강도인가요?) 이때 fy와fs의 차이,관계가 무엇인지(fy와 fs의 공학적 의미, 용도->중립축거리,변형률그래프에서는 fs사용, 평형방정식(C=T)에서는 fy사용의 차이)

  

4. 휨부재설계시   소요휨강도<강도감소계수X공칭휨강도   이고, 

강도감소계수는 변화구간단면에서 철근의 극한변형률이 클수록 큽니다.

여기서 변형률은 변형을 흡수할수있다는 의미로보고, 변형을 많이 흡수할 수 있으니 더큰 힘을 견딜수 있어 강도감소계수가 커지는것이 맞는지

 

이렇게 4가지 질문드립니다.

답변안광호2018.10.29 17:01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철근의 변형률은 어떤 계산에 의존한다기 보다는 다음과 같은 극한강도설계법의 기본가정 중 괄호(2)의 내용을 따른다고 보시면 됩니다.

(2) 이 질문은 (1)의 답변과 같은 맥락인 것 같습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에서 철근의 극한강도라는 것은 고민사항이 아니며, 항복강도만을 적용합니다.

(3) 이 질문 역시 (1)의 답변과 같은 맥락인 것 같습니다. 

(4) 전체적인 맥락은 맞습니다. 다만, 변화구간단면에서의 강도감소계수를 산정할 때 철근의 극한변형률이라는 것이 고려되는 것이 아니라,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라는 것이 고려됩니다.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