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기출문제 건축구조 문제 질문
이*민2018.11.04답변완료

노란색 기출문제 책 6-404 10번 문제

 

콘크리트량 보 부분 구하는 문제에서

 

0.5 X 0.8 인데 0.8이 위에 슬래브가 없어서 0.8을 곱하는건가요?

 

그리고 보 거푸집 구할때는 위에 슬래브가 있든 없든 0.8에서 두께 0.12를 빼주는건지

 

궁금합니다

 

노란색 기출문제 책 6-374 28번 문제

 

겔버보 A단의 휨모멘트 구하는 문제에서

 

M a right = - [ +4 * 1] 이던데

 

M a right니까 앞에 - 가 붙는건 알겠는데

 

+ 4가 붙는건 왜 그런건가요?

 

4kN 이 아래쪽 방향으로 작용하니까  - [ -4kN * 1m] 라고 생각했는데

 

+4 더라구요..왜 그런건가요?

 

 

마지막으로 순인장철근변형률하고 항복변형률 차이가 뭔가요?

 

균형철근비하고 최대균형철근비 였나..거기서  공식이 나오는 과정중에서

 

순인장철근변형률하고 항복변형률이 각각 들어가던데 저 두개의 차이가 뭐고 정의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인터넷에서 정의가 뭔지 검색했는데 쉽게 이해가 안가서요.. 

답변안광호2018.11.05 15:21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보의 콘크리트량만 구하는 단일 문제에서는 보의 나비에 슬래브 두께를 빼지 않은 전체의 높이를 곱하여 콘크리트수량을 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2) M_A,Right = - [ + (4)(1)] = -4kN.m 에서 첫번째 -는 오른쪽을 계산한다는 의미이고, 두번째 +는 4라는 힘이 A점으로 부터 1m의 거리에서 시계회전이라는 의미이며, 세번째 결과값의 -는 수평의 부재가 위쪽으로 휘어진다는 부모멘트의 의미입니다.

(3) 교과서에서나 검색사이트에서는 매우 어렵게 설명이 되지만 실상 항복변형률은 어떤 철근이 외력을 받아 항복을 할 때의 변형률이라는 매우 간단한 의미입니다.

순인장변형률은 특정의 조건에서 계산된 철근의 변형률이며 이값은 항복변형률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이며, 같은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