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출문제 책자로 학습중 궁금한것이 생겼습니다.
기출문제 책자 6-493페이지 18년도 1회 기출문제 5번문제(흐트러진 상태의 흙 10m^3.....)에서 풀이 보면.
(단위생략 하겠습니다.)
풀이 1) 에 대한 해석은
" 흐트러진흙 * C/L = 다져진 토량 "으로 알수 있고
풀이 3) 에 대한 해석은
" 다져진 토량 * L/C = 흐트러진 토량 "을 유추 할수 있는데요
기출문제 책자 6-469페이지 16년도 3회 기출문제 21번문제(다음 조건으로 요구하는 산출량을 구하시오)에서 풀이 보면.
풀이2)에 대한 해석은
"다져진 토량 * L = 흐트러진 토량"을 유추 할수 있고
풀이3)에 대한 해석으로
"흐트러진 토량 * C = 다져진 상태 토량"을 유주 할수 있는데요
두개의 문제에 대한 풀이를 보시면
다져진 토량에서 흐트러진 토량으로 환산하는 과정이 L/C만 곱하는지, L만 곱하는지
흐트러진 토량에서 다져진 토량으로 환산하는 과정이 C/L만 곱하는지, C만 곱하는지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토량환산계수 L과 C는 자연상태의 토량에 적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교재 2-39 페이지의 내용을 다시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2016년도 기출문제에서
(1) "다져진 토량 * L = 흐트러진 토량" 이 아니라 "자연상태의 토량 * L = 흐트러진 토량"이 되는 것이고
(2) "흐트러진 토량 * C = 다져진 상태 토량" 이 아니라 "자연상태의 토량 * C = 다져진 상태 토량"이 되는 것입니다.
2018년도 기출문제에서 지문에 "흐트러진 상태의 흙"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자연상태의 흙으로 바꾼 다음 다져진 상태의 흙으로 바꾸기 위해 C/L을 적용하였습니다. 마찬가지로 다져진 상태의 토량을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위 과정을 역으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항상 "자연상태의 흙"을 기준으로 L과 C를 적용하는 것을 잘 기억하여야 하겠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