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기타문의] 질문드립니다
문*화2019.10.11답변완료

질문의 답이 1번인데 중앙에서 는 알겠습니다만 단부에서는 1/4지점도 맞는 보기인가요?

정답은 1번입니다

 

경사계가 인접구조물의 기울기 측정이라고 나와있는데 흙막이벽의 중간부 변형은 무엇인가요...?  경사계가 쭝수평변위라는 뜻으로 2개 용어가 맞는건가요?

실적률이큰굵은골재를 사용할수록 단위수량이 왜 작은지 궁금합니다

보기1번도 해설부탁드려요

 

보기2번은 어떤제도에해당하는건가요? 산출내역서도 응찰자에게 제출하는 실적에 포함되지 않나요?

답변이명철2019.10.14 11:06

답변입니다.

28번: 이어치기는 원칙적으로 응력이 작은곳에서 하므로,

 

          1번 응력이 집중되는곳에서 한다 가 틀린내용입니다.

 

          2번보기 보,슬라브는 스팬의 중앙(1/2)으로 알아두세요.

 

          1/4은 잘못된 내용입니다.

 

21번: 인접구조물의 기울기측정--Tilt meter(틸트 미터:경사계라고도함)

 

         인크리노 미터(Inclinometer)-- 지중 또는 지하 연속벽의 중앙에 설치하여

 

          흙막이가 배면 측압에 의해 기울어짐을 측정(이것도 경사계라 함)

 

          고로 흙막이벽의 중간부 변형 측정기- 경사계(지중 수평변위 계측)가 맞음.

 

* 실적율이 큰 굵은골재를 사용하면 공극이 작으므로 단위수량(물)이 작아집니다.

 

   공극속에는 물과 시멘트가 들어가므로, 공극이 작으면 물과 시멘트량이

 

   작게 들어갑니다.

 

*실적율을 크게하려면 자갈과 모래크기를 큰것을 쓰고 양으로는 자갈은 많게

 

  모래양(잔골재율)은 작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필수 암기)

 

30번 : 보기2번은 내역 입찰제도입니다.(입찰시 산출내역서 없으면 입찰 무효)

 

          PQ와는 전혀 관계없는 제도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