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질문했던 문제인데
다시 질문드립니다.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철근 순피복두께에서 어떻게 40이 나왔냐 입니다.
전체는 400m이라고 나왔는데 어디서 구해졌는지 근거를 모르겠고
간격을 구할때 주철근을 절반을 구한다고 했는데 왜 주철근에서 2를 나누어 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순피복두께는 휨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도입되는 개념으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인장철근표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지표입니다.
별다른 조건이 없다면 보통강도콘크리트이고, 보통강도콘크리트를 사용한 보의 피복두께는 40mm입니다. 여기에 그림상의 전단철근인 스터럽의 직경 10mm를 더한 값이 휨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순피복두께가 될 것입니다.
400 = 40*2 + 10*2 + 22/2 * 2개 + 순간격s * 2개 의 의미를 생각해보시면 되며, 이것을 순간격 s로 정리해 놓은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