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프의 메커니즘은
[하중작용⇒보밑에 휨균열이 발생⇒ 하중의 증가없이 처짐이 발생]이잖아요?
이러한 크리프의 해결책중 대표적인것은 압축철근비를 높이는 것이고요.
정말 단순화하면, [하중⇒휨균열⇒크리프(해결책:압축철근비)]입니다.
--------------------
그런데, 건축구조를 공부하다. 휨균열을 제어하기위해서는 압축철근이 아닌, 인장철근의 간격으로 한다고 하네요.
그러면 휨균열 자체를 제어하는것은 ⇒인장철근의 간격으로,
크리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압축철근비를 높임으로 하는것인가요?
-------------------------------------------
+)추가로 건조한환경에서 크리프는 더 크게일어나고, 습윤한 환경에서 크리프가 작게 일어난다고 배웟습니다.
그런데 휨균열을 제어할때 인장철근의 간격이 습윤한 환경에서 더 좁게나오네요 (습윤한환경 210, 건조한환경;280)
---------------------------
정리하면, 휨균열은 크리프에 영향을 주지만, 각각의 제어법과 환경적인 영향은 다르게 봐도 되는거라고 보면될까요?
안녕하세요,,,
크리프는 하중작용으로 인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재료의 소성변형현상으로서 휨균열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인장철근의 주목적은 휨균열의 예방입니다.
이러한 휨균열은 인장철근의 간격을 얼마만큼 가져가느냐에 따라 좌우되며, 건조한 환경보다는 습윤환경 및 (고)부식성 환경에 노출될 경우 더욱 균열발생우려가 증가되므로 인장철근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습윤환경 및 (고)부식성환경이 더 작은 환경조건에 대한 수치가 적용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