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 합격수기
합격수기
제목 | |||||
---|---|---|---|---|---|
글쓴이 | 진*숙 | 등록일 | 2020.06.26 | 조회수 | 2,210 |
1. 필기 학원 강의 - 문제 풀이 - 기출문제 반복 풀이 형태로 공부했습니다. 2. 실기 학원 강의 1회독 후 중점을 둘 과목과 아닌 과목을 구분해서 기출문제 위주로 이해 안되는 부분의 강의만 집중 반복하면서 공부했습니다. 3.실기 공부하면서 느낀 점 1)2018년 이후 변화된 출제 경향을 나름 분석해본 결과, 시공(50~60점 배정)은 10개년간 자주 출제된 문제 40%, 2회 이상 출제된 문제 40%, 신유형이나 난이도 걸리는 문제 20%정도로 보았습니다. 여기에 구조 20점 전후, 공정표10점, 적산 10점 전후입니다. 2)합격 커트라인 확보를 위한 전략 한정된 시간 안에 합격 점수를 확보하기 위해 시공과 공정표는 다 맞춘다는 생각으로, 구조와 적산, 공정품질은 단답형은 모두 맞춘다는 생각으로 접근했습니다. 확실히 답을 쓸 수 있는 문제수의 확보가 어설프게 부분점수에 기대는 것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3)과목별 전략 <시공 > -10개년 기출문제는 2회 이상 나온 문제는 모두 반복해서 풀었습니다. 그 이전 기출문제도 개념을 익히는 정도로 풀었습니다. -직전 회차나 전년도에 나온 문제와 연관된 문제들을 연계해서 공부했습니다. 예)탑다운 공법이 출제되었다면 SPS공법과 비교해서 정리 -목구조는 매 회 출제된다고 보아 기출 문제 전체를 풀었습니다. -나만의 정리노트를 만들어 단원별로 정리하고 학원 강의시 출제 예상 문제로 짚어 주신 문제들은 부록처럼 덧붙였습니다. <구조> :공식을 적용하는 문제, 역학, 구조 규정, 용어, 신유형 등이 골고루 출제되므로, 단답형 문제는 확실히 푸는 방향으로 공부했습니다. <공정품질> :공정표는 원가 계산, 공기단축까지 포괄적으로 작성해 보고, 한 문제를 풀더라도 정확히 푸는 연습을 반복했습니다. 품질관리도 꼼꼼히 핵심단어를 채워 넣는 풀이 연습을 했습니다. <적산> :시멘트량, 벽돌량, 굴착량 등 간단 계산 문제 위주로 공부했습니다. 공부량이 많아지면 집중력에 한계가 있어서 콘크리트 및 거푸집 산출 문제는 출제 예상을 했음에도 공부를 못했는데, 안정적인 합격을 위해서 이후로는 필수로 공부해야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4.향후 전망 전반적인 기사 시험 난이도는 상향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배점이 큰 적산 출제 비중이 높아지고, 시공과 건축구조에서 신유형과 원론을 응용한 난이도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시공과 공정품질을 기본으로 적산과 구조 중 한 분야는 꼼꼼히 집중 공부를 해야 안정적으로 합격권에 들지 않을까 전망합니다. |
이전글 | 2020년 건축산업기사 실기 1회차 합격했습니다. |
---|---|
다음글 | 2020년 건축기사 합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