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 합격수기
합격수기
제목 | |||||
---|---|---|---|---|---|
글쓴이 | 허*우 | 등록일 | 2021.12.28 | 조회수 | 1,897 |
안녕하세요. 1, 2회차 낙방 후 4회차에 건축기사 합격했습니다!
저는 5년제 건축학과를 나왔습니다. 전공자라고 생각하시겠지만 학점도 안좋고 사실 건축에 대한 의문이 많이 들어서 갈팡질팡도 많이 해서 대학교 수업도 출첵만 했을뿐 거의 전공지식이 무후한 노베이스라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또한 여기 카페에는 합격하신분들도 많으시고, 숨은 고수분들도 많으실겁니다. 번데기 앞에서 주름 잡는 격이지만 그래도 후기 올리겠습니다.
[필기] 필기는 더 바이블 한솔 10개년 책을 구매하여 달달달 외웠습니다. 필기는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이 가능합니다.
건축계획 : 건축학을 전공하였기에 시공과 구조부분이 취약했습니다. 계획과목을 통해 평균을 많이 올린다는 생각으로 2문제 정도 틀린다고 생각하고 공부했습니다. 서양건축, 한국건축 부분은 기출문제를 정리하며 외웠습니다. 상대적으로 쉬운과목이기에 방심하지 않고 오히려 고득점을 받는다는 생각으로 공부하였습니다.
건축시공 : 무조건 외웠습니다. 예를들어 워커빌리티와 관련된 문제가 나오면 답이 바로바로 떠올릴정도로 달달 외웠습니다. 이론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교재에 나와있는 이론을 정독하며 이해 후, 정답과 문제까지도 외웠습니다.
건축구조 : 제일 많이 어려웠습니다. 사실 과락만 면하자 라는 생각으로 공부했습니다. 안광호 교수님의 한솔 너튜브에 올라온 강의와 블랙박스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 계산이 필요한 문제는 공식을 외웠고 공식이 안외워지면 이론 필요없이 문제에 나온 숫자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무식하게 외웠습니다. 계산이 필요없는 문제도 외웠습니다. 한솔 너튜브 무료강의 이용하시거나 그래도 어려우신분은 인강과 블랙박스 강의를 활용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건축설비, 법규 :설비와 법규는 이름만 들어도 양이 많을거 긑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10개년 기출문제를 풀면서 이론을 정리하면 양이 많지 않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더바이블에 나온 이론을 이해하며, 기출문제와 계산식 암기 했습니다. 기출문제 특히 계산 문제 보시다보면 중간중간 함정이 나와있는 부분이 있지만 그 부분은 문제를 꼼꼼하게 읽어 피했습니다. 한솔 너튜브 무료강의와 블랙박스 강의를 활용했습니다.
필기는 전체적으로 한솔 너튜브 무료인강과 블랙박스를 활용하며 기출문제를 암기하였습니다. 그리고 구조는 안광호 교수님 무료강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저는 구조에 자신이 없었기에 계획에서 고득점을 받아 평균을 올리자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계획 90점 구조 40점 나왔고 나머지는 60-70점대로 나와 평균 60점대로 필기 합격하였습니다.
[실기] 노베이스라서 처음에는 책이 두꺼운게 좋을거 같아 3권짜리 책과 인강을 구매했습니다. 사실 개인적인 이유로 시간이 많이 없었고 인강의 양이 많아 다 듣지 못했습니다. 결국 1차 시험 20점대로 불합격 했습니다. 2차 시험에는 시공을 제외한 인강을 다 듣고 시험을 봤지만, 58점으로 불합격했습니다. 사실 가채점에서는 30점에서 40점 예상했는데 58점이라는 고득점(?)이 나와서 의아했습니다. 생각을 해보니 정답을 외워 그대로 적는것도 중요하지만 정답을 적을때 요구하는 키워드를 확실하게 적고 나머지는 유사하게 적어도 점수를 생각보다 후하게 준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무조건 적인 암기보다는 정답의 키워드를 생각하며 공부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과감하게 바이블 교재로 바꿨습니다. 종합교재는 두꺼울뿐만 아니라, 양이 많아 오히려 부담이 되었습니다. 더 바이블 교재로 공부를 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종합교재를 통해 보충했습니다. 전체적으로 10개년 기출문제를 확실하게 공부했습니다. 바이블 교재를 보면 앞쪽에 이론설명과 이론에 해당하는 기출문제가 01년도부터 20년도까지 기출문제가 나와있는데 그 부분도 11년도 기출문제부터 공부했습니다.
건축 시공 : 시공은 전체의 50-60점을 차지할민큼 비중이 높습니다. 무조건 정답의 키워드 위주로 암기했습니다. 사실 3권짜리 교재 구매하며 인강을 구매했지만 시공부분은 이론을 정독 후 이해가 안가는 부분만 들었습니다. 또한 이론 이해 후 기출 회독을 하였습니다. 문제 정답의 키워드가 중요하기에 키워드는 무조건 암기했습니다. 또한 부분점수가 있는 문제도 있기에 시험에서 모르는게 나와도 무조건 아는대로 답안을 작성했습니다. (예를들어 4회차에 로터리보링(?)이나 큰보 작은보 같은 경우 입니다.)
건축 구조 : 인강을 활용했습니다. 인강을 활용 후, 블랙박스에서 한번 더 복습하였습니다. 예를들어 고장력볼트설계강도가 나오면 바로 공식이 튀어나오게 암기했습니다. 사실 인강이나 블랙박스에서 안광호 교수님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신것만 하셔도 충분합니다. 또한 요즘 빈칸채우는 문제도 많이 출제되는거 같아 빈칸에 나올법한 문제도 암기했습니다.
건축 적산 : 1-2문제 출제되는데 고득점 문제가 많기에 공식을 확실하게 공부했습니다. 계산식 풀이과정에서 실수를 하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꼼꼼하게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하루에 한문제 정도 공부하며 한번에 집중해서 풀었습니다.
공정, 품질 : 대학교에서 배운적이 있는가 싶을정도로 생소했습니다. 1,2회차에는 강의를 이용했지만, 시간이 지나니 다 잊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바이블 교재와 블랙박스 강의를 활용하였습니다. 강의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해하면 제일 쉽게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많은분들이 공기단축을 어려워하시는데 바이블 교재에 나온 설명을 활용하거나, 강의 혹은 블랙박스 강의를 활용하시면 쉬울거라 생각합니다. 정 이해가 안가는 부분은 사진을 찍는것 처럼 머리속에 넣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실기에서의 시공은 무조건적인 암기보다는 간단한 이론을 정리 후 문제를 푸는 방법과 문제가 원하는 정답의 키워드를 맞춰 답안을 작성한다는 생각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또한 무조건적인 암기보다는 키워드를 통한 암기가 중요한거 같습니다. 구조와 적산은 블랙박스 강의와 교재를 활용하였고, 계산식이 중요하며 풀이과정에서 실수 없이 꼼꼼하게 답안을 작성하는게 중요한거 같습니다. 공정표 또한 마찬가지라고 생각이 듭니다.
가채점 당시에는 60점 밑이였고 망했다라고 생각했습니다만 확인해보니 69점 합격을 해서 홀가분합니다. 개인적으로 기사 자격증 시험은 60점 합격이나 100점 합격이나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이론을 이해하여 문제를 풀어야하는 부분도 있지만, 정답의 키워드를 암기하여 문제를 푸는 방법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참 우여곡절이 많은 건축기사 시험이였습니다. 한솔교재와 인강, 무료강의, 블랙박스 강의 덕분에 합격한거 같습니다. 모든 교수님들과 한솔아카데미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의 후기가 많은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화이팅입니다!
|
이전글 | [합격수기]수험기간이 길어져 힘드신 분들 보십시요 |
---|---|
다음글 | 2021년 4회차 동차 합격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