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 합격수기
합격수기
제목 | |||||
---|---|---|---|---|---|
글쓴이 | 옥*석 | 등록일 | 2025.06.20 | 조회수 | 95 |
안녕하세요. 이번 25년 1회차 건축기사 필기, 실기 최종합격하여 수기를 남겨봅니다. 저는 건축학과(5년제) 전공자로서 작년 24년도 3회차 건축기사 필기에 도전하였지만 만만히 보고 공부를 안한 탓에 떨어지고 이번 25년도 1회차 필기와 실기 한번에 최종 합격하였습니다. 1. 필기 건축학과 전공자로서 학교에서 배운 내용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만만하게 봤지만 24년도 3회차 필기를 떨어지고 사실상 노베이스 상태에서 처음 공부한다는 마음가짐으로 25년도 1회차 필기시험 준비를 시작하였습니다. 주로 사용한 공부방법은 일단 무작정 기출문제를 풀었습니다. 그리고 풀고 나면 채점을 하고 오답 풀이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렇게 총 5개년 정도 풀고 나니 계속 반복해서 나오는 문제도 있고 점차 틀리지 않게 되었습니다만 건축구조, 건축설비, 건축시공 파트는 아직 합격 커트라인을 간당간당하게 넘을 정도였습니다. 따라서 파트별로 공부방법을 다르게 하였습니다. 건축계획, 건축법규 파트의 경우 점수가 계속해서 잘 나왔고 학교에서 배운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수업내용을 다시 돌이켜보며 기출문제 위주로 풀고 오답풀이를 하는 방식으로 공부하였습니다. 건축구조, 건축시공, 건축설비의 경우 점수가 과락 기준인 40점에서 50점 사이를 왔다갔다 하였습니다. 따라서 건축시공, 건축설비는 나만의 요약집을 만들어 달달 외우고 기출문제를 풀고 오답풀이를 하였습니다. 반면에 건축구조는 한솔아카데미 책을 사서 기본 개념부터 익히고 각 문제유형별 문제풀이를 함으로써 공부방법을 약간 다르게 하였습니다. 파트별로 공부방법을 다르게 한 결과 이후 풀게된 5개년 기출문제는 과락을 면하고 평균 70점 정도 맞게 되어 시험을 자신있게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2. 실기 실기는 건축시공, 건축적산, 공정 및 품질관리, 건축구조 파트 모두 필기의 연장선상에서 더욱 세세하게 공부해야 했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풀고 오답풀이를 진행하려고 하니 개념을 외우지 못하면 글로 쓸 수 없었기에 기출문제를 아예 풀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개념을 먼저 정리하고 요약을 한 다음 빈출 개념들 위주로 외웠습니다. 이때 도움을 준 것이 한솔아카데미의 블랙박스 문제집입니다. 필기 합격 후 이벤트로 신청하여 책을 받았는데 기출문제와 개념이 빈출 중요도대로 정리되어 있어 공부하기 편리했습니다. 건축시공의 경우 빈출이 가장 많이 되는 부분들을 중점적으로 외워 공부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공사와 토공사, 총론, 대지 및 지반조사 위주로 개념들을 외우고 공책에 글로 써보았습니다. 건축적산의 경우 단순히 공식을 암기한다기 보다는 기둥, 보, 슬래브 부피/면적을 구할때 빠트리는 부분없이 부피/면적을 구하면 문제를 쉽게 풀수 있었습니다. 비계, 철근, 벽돌 정도만 외워야할 부분들을 외우고 적용시키는 방법으로 공부했습니다. 공정 및 품질관리의 경우 네트워크 공정표 기출문제를 계속 풀어보았습니다. 한 10문제 정도 푸니 감이 잡히고 풀 수 있었기에 그 다음 단계로 공기단축과 비용감축 문제로 넘어가 응용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그외의 개념들을 그냥 외웠습니다. 건축구조의 경우 개념을 이해하여도 공식을 외우지 못하면 문제를 풀 수 없기에 공식을 무작정 외웠습니다. 철근콘크리트 공사 / 철골 공사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각 공정에서 구해야 하는 힘, 응력, 전단력 등의 관련 공식들을 정리하고 외웠습니다. 특히 중요했던 것은 공식에서 각 알파벳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가면서 외우는 게 문제를 풀 때 편했습니다. 필기 시험은 컴퓨터로 보고 객관식이기 때문에 찍을 수 있어 부담감이 적었지만 실기 시험은 종이에 글로 써야 하기 때문에 부담감이 컸습니다. 실기시험 전에 기출문제도 5개년 정도 밖에 풀지 못해 불안한 마음으로 시험을 쳤던 것 같습니다. 막상 시험을 치니 다행히 운이 좋아 아는 문제들이 많이 나왔고 자신있게 풀었던 것 같습니다. 반면에 처음보는 문제들이 나왔는데 (알고보니 풀지 못한 기출문제들이었다) 부분점수를 노리고 풀수 있는 만큼 빈칸으로 남겨두지 않고 꽉꽉채워 넣었습니다. 덕분에 턱걸이로 60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
이전글 | 2025년 1회 건축기사 실기 합격후기 |
---|---|
다음글 | 50대 중반 건축산업기사 실기 합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