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기둥 철근량 갯수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실기_건축적산 > 김형중
글쓴이 신*욱 등록일 2018.02.0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를 들을때 철근량 산출을 할 때에 

    직선거리에서 갯수산정을 할 때에 거리와 간격을 나눈후 +1 값을 해주는 걸로 배웠고 

    거리와 간격을 나누었을 때 안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에는 반올림을 해준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이제 보 철근량 산출 문제[18년도 개정판 실기책 p.2-65] 중 밑에 있는 예제에서 

    늑근의 길이를 구할 때에는 간격에 따른 늑근의 갯수를 구할 때에 반올림을 하지 않고 

    그대로 값을 구해서 늑근 길이를 산출하더라고요.

     

    그런데 이 문제 풀기 전에는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각각의 값을 반올림 하는게 아니라 그 값들을 다 더한후 반올림을 해야 갯수가 딱 1개만 늘어나거나 그대로이다 라는 설명을 해주셨는데 

    왜 저 보 철근량 산출문제에서는 그러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 김형중 |(2018.02.02 14:02)

    답변입니다.

     

    철근갯수 산출시 설계도에 철근의 배근 간격만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직선 길이에서는 그 부분의 길이를 배근간격 치수로 나눠서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여 정수로 하고 다시 1을 더한 값을 철근의 본수로 한다.

    그러나 폐합된 길이에서는 1을 더하지 않는다.

    (단, 주어진 갯수가 있으면 주어진 갯수를 우선하여 산출한다.)

    (교재 2-59p 2.철근갯수 산정방법 참조)

    (2-60p (3)항 참조)

     

    철근갯수 산출시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산출하시면 되겠으며

    질문하신 2-65p 예제에서 늑근갯수 산출시도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입니다.

    즉, 첫번째 예제에서 (3/0.3+3/0.15) 정수로 산출되며 +1로하여

    산출한 결과 입니다.

    두번째 예제에서도 (3.8/0.15+3.8/0.3) 소수이하 수치를 다 더하면

    철근갯수는 정수로 떨어지며 결과에 +1로 하여 산출한 결과입니다.

     

    철근갯수 산출시 상기와 같이 산출하시면 되겠으며 소수이하 수치는 다소

    오차범위내로 보고 채점시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