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철근갯수 산출시 설계도에 철근의 배근 간격만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직선 길이에서는 그 부분의 길이를 배근간격 치수로 나눠서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여 정수로 하고 다시 1을 더한 값을 철근의 본수로 한다.
그러나 폐합된 길이에서는 1을 더하지 않는다.
(단, 주어진 갯수가 있으면 주어진 갯수를 우선하여 산출한다.)
(교재 2-59p 2.철근갯수 산정방법 참조)
(2-60p (3)항 참조)
철근갯수 산출시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산출하시면 되겠으며
질문하신 2-65p 예제에서 늑근갯수 산출시도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입니다.
즉, 첫번째 예제에서 (3/0.3+3/0.15) 정수로 산출되며 +1로하여
산출한 결과 입니다.
두번째 예제에서도 (3.8/0.15+3.8/0.3) 소수이하 수치를 다 더하면
철근갯수는 정수로 떨어지며 결과에 +1로 하여 산출한 결과입니다.
철근갯수 산출시 상기와 같이 산출하시면 되겠으며 소수이하 수치는 다소
오차범위내로 보고 채점시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