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시공 과년도 21.9.12(4회) Q.12(32)갱폼 특징?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김*현 등록일 2023.09.05 답변상태 답변완료
  • 고생이 많으십니다.

    과년도 풀이를 순서없이 하다가 시공 문제에 오류가 있는 듯 해서 올립니다.

    저는 건축 아파트 및 주상복합 경험이 많은데,

    보기 1번, 기능공의 기능도에 따라 시공 정밀도가 크게 좌우된다.

    이 문장은 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듯 보입니다.

    아무리 숙련을 해도 기능공의 학습효과 차이도 보일뿐더러,

    갱폼 수직도 오차도 크고, 갱폼 타이 개소마다 놓치는 작업자도 봐왔고, 앙카볼트 매립방향(철근 구부림방향이 원칙)도 슬래브에서 거꾸로 올리는경우도 많고 합니다.

    즉, 기능공의 기능도에 따라 시공정밀도, 품질, 안전성(갱폼추락)까지 크게 좌우됩니다.. 

    이 보기문항은 건축시공공종 다 적용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타일공,조적공,석공,도배공 등 기능공마다의 숙련도가 다 틀립니다.(모든 공종 좌우됩니다)

     이건 문제 출제자들이 봐야 하는데요...^^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 한규대 |(2023.09.05 21:18)

    답변입니다:*현실과 이론은 괴리가 있기 마련입니다..시험문제는 항상 건축시공학책이나,대학교재,시방서의 이론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되고 그 배경에는 표준적이고 일반적인 상황을가정한 대표적인 값을 대변하게 됩니다..

    1)예전에 철근의 선조립공법의 장점을 /품질이 우수하다,정밀도가 우수하다./라고 강의때 말씀을 드렸더니 감리단장을 하시던 수강생께서 현실과 다르다.라고 여러가지 예를 들어서 저한테 설명을 하신분이 계신대요,,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내용이라고요,,,지금 질문하신 부분도 동일하다,라고 말씀을 드리 수 있겠습니다..

    2)출제를 담당하는 4년제 대학교수들이 저술한 책내용에서 일반적으로 갱폼은 숙달이되면 꼭 숙련된 경험많은 대목수가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조립,해체가 가능하다.라고 대부분 기술하고 있어서 /기능공의 기능도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라고 되어 있습니다..만약 현장의 모든 여껀과 현실을 반영한다면 시공 문제중에서 성립되는 문제가 많치 않겠지요...

    3)또한 특정한 현장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문제를 출제한다면 현장 경험이 전무한 학생 수험자들은 더 큰 혼란에 빠지게 될검니다...그정도로 이해해 두시지요..

    *시험문제를 직접 관리하고,출제하는 관리공단에 건의를 하시는 것이 더 좋을것 같습니다,,참고하세요. /질문하신 내용은 백번 동감합니다.../수고하세요..그리고 질문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