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안녕하세요 교수님 건축적산 콘크리트 공사비 관련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정규종합반 > 이병억
글쓴이 이*형 등록일 2025.02.2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철근량을 계산하던 중,

     

    4변 고정슬라브의 경우,

    주근 단부 계산 시 '양쪽단부길이/배근간격+1'을 활용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1은 왜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림으로 그려봐도 양단부에 놓여질 주근 개수의 합은 무조건 짝수인데(양쪽이니까..) 왜 주근에서 개수를 하나 추가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1을 한다면 양단부에 짝짝이로 배근을 하는 거 아닌가요?

     

    오히려 주근탑바의 개수를 셀 때 +1을 해야 하는 게 맞는 거 아닌가 생각이 드는데, 충분한 설명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이병억 |(2025.02.21 10:23)

    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상부의 주근과 부근 계산시 +1을 하는 이유는 첫번째, 하부의 주근과 부근의 갯수 산정방법과 일치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두번째 이유는 계산을 쉽고 일관성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첫번째 이유를 설명드리면, 먼저 하부의 배근상태를 보시면 하부의 주근과 부근은 슬래브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철근이 배치되어 있으며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슬래브의 장변과 단변의 길이를 철근의 간격으로 나누고 +1을 해서 계산합니다. 상부의 주근과 부근도 이러한 방법으로 계산합니다.

    그러면, 말씀하신대로 양단부에 배치되는 철근이 짝짝이로 배근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겠네요? 그래서 톱바를 +1을 하고 단부에서 +1을 하지 않으면 갯수는 맞출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부의 주근과 부근은 스트레이트 철근이고 톱바는 중앙부가 잘려진 철근이기 때문에 길이가 부족한 문제가 발생하겠지요? 그렇게 되면 얼마만큼 부족한지를 또 계산해서 길이에 가산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두번째 이유인 계산을 쉽고 일관성있게 하기 위해 2-68페이지의 학습포인트에 있는 철근갯수 계산방법을 정해서 계산한 것입니다. 물론 말씀하신대로 톱바에서+1을 해서 계산하는 방법도 맞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계산하게 되면 하부에서는 벤트근의 갯수에 +1을 하고 하부 주근과 부근에서는 +1을 하지 않고 계산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풀이한 교재들도 있으며 두가지 방법 모두 근소한 오차범위 내에서 철근의 수량이 산출됩니다.

    따라서 어떤 방법을 사용하셔도 오차범위 내에서 수량이 산출되므로 모두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다만, 수험자분께서 이해하기 쉽고 편리한 방법으로 계산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