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계산식 답안 작성시 각 숫자의 위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정규종합반 > 안광호
글쓴이 장*림 등록일 2025.04.18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선생님. 실기시험을 앞두고 문득 궁금해져서 질문 남깁니다.

    실기대비파이널특강에서 식을 작성하라고 명시되지 않는 한, 기호들로 선행된 식을 반드시 적을 필요는 없이 숫자를 적어서 풀이를 표현하면 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런데, 예를들어 아래의 3가지 상황같은 경우가 궁금해졌습니다. 정답은 동일하게 나오지만, 과정에서의 식이 조금 다른 경우들인데요.

    1) 미끄럼계수의 식을 작성할 때에 있어 각 기호가 무슨 의미인지를 알아두는게 중요할텐데요.
    hf의 위치에 미끄럼계수를 쓰고, 필러 계수는 미끄럼계수의 위치에 쓰는 등. 그 풀이 식과 기존 식의 위치가 달라도 괜찮은지요?

     

    2) 등가응력블록깊이 a를 구하는 식을 적을 때, η가 1이기에 식 속에 (1.0) 이런 표현 없이 생략 해도 되는지요? 생략하지 않는다면 철근의 정착길이 식에서, 간편식으로 사용할 경우 α,β 가 1인 경우는 그냥 제외하고 사용하는 것과 차이가 무엇인지요?

     

    3) Ix/Iy와 같은 단면2차모멘트의 비를 구하는 문제에 있어 bh³/12+Ad² 라는 식을 사용해서 풀게되는데, b=300m 이고 h=600mm 일때, 면적을 나타내는 표현을 할때, b*h라는 표현 대신 h*b라는 표현을 사용해도 정답으로 인정되는지요?

     

    평소에 가능한 만큼 디테일하게 외우려고 노력하면서 공부했습니다만, 문득 마지막으로 정리하면서 답안들을 비교하다보니 걱정이 되어 질문드립니다.

  • 안광호 |(2025.04.18 22:36)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고장력볼트의 설계미끄럼강도를 계산하라는 지금까지의 기출문제들은 문제의 조건에서 식을 모두 제시해주었습니다.

    식을 제시해주었으므로 순서대로 숫자의 나열을 정확히 해주셔야만 하며,

    첫번째는 구멍의 크기에 따른 설계저항계수, 두번째는 마찰접합면의 미끄럼계수, 세번째는 필러의 사용유무에 따른 계수, 네번째는 설계볼트장력, 다섯번째는 전단면의 수입니다. 조건의 식에서 갯수가 지정되지 않았으므로 최종적으로 육안으로 고장력볼트의 개수를 세어 곱해주시면 됩니다.

    (2) 해당 지표가 어디까지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괄호를 해놓은 것이며, 수험생은 괄호를 하지 않고 곱하는 형태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압축응력등가블록의 크기계수가 1.00이라는 것을 반드시 표현하시고, 정착길이계산에서 철근배근위치계수가 1인 경우, 철근도막계수가 1인 경우, 경량콘크리트계수가 1인 경우는 반드시 1이라는 수치를 계산식에 산출근거로 남겨주셔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시험문제에서 철근배근위치계수가 1.3인 경우는 있었어도 1인 경우는 없었고, 철근도막계수가 1인 경우는 있었는데 반드시 1이라는 숫자를 표현해주시기 바랍니다.

    (3) 폭 b와 높이 h를 바꾸게 되면 계산의 오류가 발생되므로 폭이 먼저이고 높이가 나중이라는 형태를 기억해두시고 적용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