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용어 관련 질문 있습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건축산업기사실기
글쓴이 신*현 등록일 2025.07.16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실기 답안 작성할때 스페이서의 경우 한글로 스페이서 라고 적어도 정답으로 인정 되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아니라면 영어로 Spacer로 적어야하나요?

     

    또한 21년 2회 산업기사 11번 문제를 보면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추락 재해 방지시설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라고 되어있는데

    답안에는 낙하물 방지망, 방호선반, 추락방호망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산업안전 기사 공부할때 낙하물 방지망은 추락재해 방지대책이 아니라 낙하물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추락재해 방지시설물과는 구분되어있었는데 이 경우에는 낙하물 방지망 대신 안전난간이나 울타리 등으로 써도 정답으로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긴 질문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백종엽 |(2025.07.16 16:52)

    보통 같이 나오는 경우로 출제되어 교재에서 구분이 잘 안되것 같습니다.

    아래처럼 구분을 해주세요~

    울타리는 빼주시구요'

     

    > 추락재해방지시설

    1. 개구부 수평보호덮개 : 근로자 또는 장비 등이 바닥 등에 뚫린 부분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판재 또는 철판망
    2. 발끝막이판(toe board) : 근로자의 발이 미끄러짐이나, 작업 시 발생하는 잔재, 공구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발판이나 통로 및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판재
    3. 수직형 추락방망 :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위험장소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여 추락의 위험을 방지하는 방망
    4. 안전난간 : 추락의 우려가 있는 통로, 작업발판의 가장자리, 개구부 주변 등의 장소에 임시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수평난간대와 난간기둥 등으로 구성된 안전시설
    5. 안전대 부착설비 : 추락할 위험이 있는 높이 2m 이상의 장소에서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시킨 경우 안전대를 안전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설비
    6. 추락 방호망 : 고소작업 중 근로자의 추락 및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하는 보호망. 다만, 낙하물방지 겸용 방호망은 그물코 크기가 20mm 이하일 것

    > 낙하물 재해방지시설
    · 낙하물 방지망 : 바닥, 도로, 통로 및 비계 등에서 자재,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 비계 외부에 수평면과 20° 이상 30° 이하로 설치하는 망

    · 방호 선반 : 상부에서 작업도중 자재나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 비계 외부 안전 통로 출입구 상부에 설치하는 낙하물 방지망 대신 설치하는 목재 또는 금속 판재

    · 수직 보호망 : 가설구조물의 바깥면에 설치하여 낙하물 및 먼지의 비산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는 보호망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