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아래에는 제가 교수님 강의를 보면서 조금더 쉽게 외우기 위해 문장의 완성을 잘랐거나 등
현 시점으로는 시험때 이렇게 작성하여 제출 하려고 합니다.
제출 형식 답변으로 적절한지 부탁드립니다.
단가도급 단점:
1. 공사기간 단축노력이 없다 (정답 인정되나요?)
테두리보 설치 이유:
1. 하중보강 2. 균열방지 3. 철근정착 (이렇게만 적어도 될까요)
AE제 사용 장점:
1. 동결융해저항성 증대 2. 수밀성 향상 3. 재료분리감소 4. 시공연도개선
쉬어커넥터 정의:
합성구조간 사용하는 전단력 보강 철물
강구조공사에서 녹막이칠을 하지 않는 부분
1. 고장력볼트 마찰부 마찰면
실비정산 보수가산식 도급의 정의:
건축주가 사전에 미리 정한 보수율에 따라 차후에 지급하는 방식
갱폼의 단점 3가지 :
1. 초기투자비용이 많다 2. 대형양중기가 필요하다 3. 별도의 저장공간 필요
앵커긴결공법 정의:
벽체와 석재사이에 공간을 두고 각종앵커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공법
콘크리트 알칼리 골재반응 정의: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의 실리카 성분이 만나 수분이 지속적으로 흡수 팽창하는 현상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 대책:
1. 골재나 물을 냉각시켜 사용한다 2. 시멘트 사용량을 가능한 적게 사용
3. 쿨링파이프 등 온도제어
= 질문( 혹시 시멘트 이라는 단어보다 단위시맨트 말을 써야만 하나요)
PQ제도 장점:
1. 공사이행의 확실성 보장 (정답 인정되나요?)
PQ제도 정의:
사전에 회사의 자격을 심사하여 입찰하는 방식
한중 콘크리트 초기 양생 목적:
1. 수화열 촉진 2. 초기강도 발현(확보)
직영공사 장점:
1. 공사이행의 확실성 보장 2. 계약 등 수속절감 3. 임기응변 처리 가능
특명입찰 정의:
건축주가 1개의 회사를 선정하여 입찰하는 방법
CM for Fee방식 정의:
CM이 발주인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며, 정해진 보수를 받는다
CM at Risk방식 정의:
CM이 발주인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며, 시공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익을 추구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