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좌굴하중의 세장비 구할때 단면2차모멘트의 b,h를 구할때 어디를 기준으로 잡아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김*현 등록일 2025.08.08 답변상태 답변완료
  • 페이지 160쪽의 36번 문제에서 세장비를 구할때 

    세장비 = 좌굴길이/단면2차반경 인건 알고 있는데 이때, 단면 2차모멘트에서 

    I =(b  x h^3)/12 를 이용해 단면2차모멘트를 구하는것은 알고 있으나

    문제처럼 b=30cm, h=50cm로 해서 계산을 했더니 오답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해설을 보니

    제가 구했던 b와h가 정반대 더라구요. 그래서 곰곰히 생각을 해보니 x,y축을 기준으로 b와 h를

    정하는건 같더라구요. 

    그래서 이 문제처럼 b와 h를 정할때 어떤 축을 어떤 기준으로 잡아야 b값인지,h값인지 정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안광호 |(2025.08.08 21:54)

    안녕하세요,,,

    (1) 강축(x), 약축(y)에 대한 부재의 길이(L)와 단면2차반경(r)을 제시하는 경우에서는 강축과 약축에 대해 각각 세장비를 계산하여 둘 중의 큰값이 부재를 설계하는 세장비가 됩니다.

    (2) 강축과 약축에 대한 부재의 길이와 단면2차반경을 제시하지 않고 단면의 형태만 제시하는 현재의 문제와 같은 경우는 강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적용하여 세장비를 계산하고, 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적용하여 세장비를 계산해서 둘 중의 큰값이 부재를 설계하는 세장비가 됩니다.

    (2)의 경우 두번 계산할 필요없이 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적용하여 세장비를 계산하면 됩니다.

     

    세장비를 계산하여 강축이 100, 약축이 200이 각각 계산되었다고 해봅니다. 세장비가 작은쪽은 덜 가늘고 덜 길기 때문에 땅딸막한 기둥이라는 의미가 되며 좌굴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을 것입니다.

    세장비가 큰쪽은 더 가늘고 더 길기 때문에 좌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것이므로 이쪽에 대해 안전하게 설계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