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생의 공부에 대한 열의가 느껴지고 어느 정도 이해를 하고 계신 수준인 것 같으므로 두가지를 먼저 짚어보고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첫째,,,휨강성(EI)이 있는 보에 거리(L)를 갖는 등분포하중(w)이 작용하게 되면 처짐각은 wL^3 / EI, 처짐은 wL^4 / EI 으로 표현됩니다. 이것을 언급하는 이유는 계산의 중간과정에서 네개의 기호를 쓰지 않고자 함입니다.
둘째,,,힘이 있는데, 힘과 거리의 곱은 모멘트입니다.
탄성하중도의 면적은 전단력이라는 힘으로, 면적*도심은 처짐으로 계산한다는 것을 숫자로만 처리합니다.
(1) 첫번째 문제는 휨모멘트도를 잘 그렸기 때문에 제대로 된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앞서 조언한 숫자로만 문제해결을 시도해보시고 간명하게 처리하는 습관을 키워가시면 좋겠습니다.
(2) 휨모멘트도가 잘못그려져 있으며 계산도 잘못되어 있음이 관찰됩니다.
고정단을 A, 중앙점을 C, 자유단을 B라고 하면
중앙점 C의 휨모멘트는 등분포하중에 대한 힘이 1/2이고 거리는 1/4이므로 (1/2)*(1/4)=1/8 입니다.
왼쪽 고정단 A의 휨모멘트는 등분포하중에 대한 힘이 1/2이고 거리는 3/4 이므로 휨모멘트는 (1/2) * (3/4) = 3/8 입니다.
자유단 B점의 휨모멘트는 0이므로 C점의 1/8까지는 2차곡선, C점부터 고정단 A점의 3/8까지는 1차직선이 그려져야만 합니다.
최종적으로 자유단의 처짐각과 처짐 계산시 필요한 면적들은 2차곡선 1개, 직사각형 1개, 직각삼각형 1개의 총 3개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시고 문제해결을 다시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