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잡석다짐량에서 F2부분에서 잡석두께를 0.15와 0.05로 나눠서 산출한 이유는
F2부분에서 잡석두께 0.15 부분이
F1기초에 접할때 F1 기초판(0.8)의 부분에 접해 있기 때문에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하기 위해서 0.8의 절반인 0.4를 공제하여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한 결과 입니다.
따라서
0.8X0.15X(20-(0.4X6+0.4X4)) 로 산출한 이유입니다.
그러나
F2부분에서 잡석두께 0.05 부분은
F1기초에 접할때 F1 버림콘크리트(1m)의 부분에 접해 있기 때문에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하기 위해서 1m의 절반인 0.5를 공제하여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한 결과 입니다.
따라서
0.8X0.05X(20-(0.5X6+0.4X4)) 로 산출한 이유입니다.
버림콘크리트량 식에서
F2부분 0.8X0.05X(20-(0.1X6+0.4X4))에서 0.1은
F2 버림콘크리트가
F1기초에 접할때 F1 기초벽(0.2)의 부분에 접해 있기 때문에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하기 위해서 0.2의 절반인 0.1를 공제하여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한 결과 입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