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건축적산 줄기초부분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2회대비]건축기사실기 정규이론 종합반(단기완성) > 김형중
글쓴이 김*주 등록일 2018.06.02 답변상태 답변완료
  • 잡석다짐량에서 F2부분은 왜 굳이 높이0.15와 0.05로 나눠놨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버림콘크리트는 밑에 다시 구하는 것 같아요~

    저는 잡석다짐식이 0.8X0.2X(20-(0.5X6+0.4X4)) 같은데... 굳이 나눠놨다면

    F2부분에서 0.8X0.15X(20-(0.4X6+0.4X4))  에서 0.4는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하구요

    버림콘크리트량 식에서 F2부분 0.8X0.05X(20-(0.1X6+0.4X4))에서 0.1은 어떤 숫자인지 궁금합니다.~

  • 김형중 |(2018.06.03 14:45)

    답변입니다.

    잡석다짐량에서 F2부분에서 잡석두께를 0.15와 0.05로 나눠서 산출한 이유는

    F2부분에서 잡석두께 0.15 부분이

    F1기초에 접할때 F1 기초판(0.8)의 부분에 접해 있기 때문에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하기 위해서 0.8의 절반인 0.4를 공제하여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한 결과 입니다.

    따라서

    0.8X0.15X(20-(0.4X6+0.4X4)) 로 산출한 이유입니다.

     

    그러나

    F2부분에서 잡석두께 0.05 부분은

    F1기초에 접할때 F1 버림콘크리트(1m)의 부분에 접해 있기 때문에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하기 위해서 1m의 절반인 0.5를 공제하여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한 결과 입니다.

    따라서

    0.8X0.05X(20-(0.5X6+0.4X4)) 로 산출한 이유입니다.

     

    버림콘크리트량 식에서

    F2부분 0.8X0.05X(20-(0.1X6+0.4X4))에서 0.1은

    F2 버림콘크리트가

    F1기초에 접할때 F1 기초벽(0.2)의 부분에 접해 있기 때문에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하기 위해서 0.2의 절반인 0.1를 공제하여

    안목간의 길이로 산출한 결과 입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