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방서내용입니다,
교재재대로 3가지가 있으며~주입효과의 판정과 히고 후 확인시험으로 구분되며, 내용은 같습니다.
>> 어떤분??? 평판재하시험,베인테스트시험의 경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포괄적으로 볼때 개량의 효과를 확인하는 개념에서는 포함시킬 수 있겠지만..
약액주입에서는 정답처리가 안된다고 보십시오.
첫번째
상식적으로 베인테스트는 연한 점토에 회전입니다. 약액주입한곳에 인력식 베인테스트를 하는 경우는제로입니다.
두번째
평판재하시험은 지반을 개량하기전에 내역에 잡혀있는 시험입니다.
원지반에 지내력을 테스트하는것이지 약약의 주입효과를 파악하는 시험은 안합니다.
셋째
다만, 시방서의 문구중에서 개량효과 등의 조사측정 문구가 있는데
(1) 공사에 앞서서 지정된 위치에 표시를 하고 공사 진행 상황을 판정하기 위해 지반의 침하변위의 측정 및 원위치시험 등을 실시하고, 더욱이 공사에 따르는 주변의 지반 및 시설 등에 대한 영향도 조사한다.
(2) 공사가 끝날 때는 지반개량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원위치시험 및 토질시험 등을 실시한다.
이문구가 있어서 원위치 시험인 평판재하시험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이런사례는 있을 수 없는 실정이므로~~
>>>> 시방서대로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1. 주입효과의 판정
현장투수시험( 투수계수 확인) , 색소판별(육안검사), 표준관입시험을 통한 N치비교(잘 안함)
2. 주입효과의 판정
① 굴착 후 육안에 의한 확인..............이것이 색소판별
② 지반조사 및 시험을 통한 확인.........이것이 표준관입시험을 말하는 것이며, 베인테스트는 불가입니다. 물론 평판재하시험도 주입 후 지반에 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③ 물리탐사에 의한 비파괴 확인..............GPR탐사(개략적 분포 확인)
3.14 개량효과의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