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안녕하세요. 18년판 교재로 학습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19년판은 711쪽입니다.
19년판은 최근 출제되고 있는 관련 이론내용을 추가하고 기출문제도 최근 경향으로 많이 교체하였으며
건축법규 개정사항도 포함한 교재이므로 19년판으로 학습하시기를 권합니다.
부담이 되시면 친구 교재 참고하시어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일반적으로 약식으로 계산시 상수 0.34를 적용하여 계산합니다만 문제의 보기의 정답을 보면 0.336을 적용해야 ①번 약 2299㎥/h 값이 나옵니다.
비열에 대한 여러 가지 관계는 다음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비열
- 어떤 물질 1kg(g)을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 단위 : kJ/kg․K, J/g․K
- 종류
㉠ 정압비열(Cp) : 공기의 경우 압력을 일정하게 하고 가열한 경우의 비열
㉡ 정적비열(Cv) : 공기의 경우 체적을 일정하게 하고 가열한 경우의 비열
※ 공기의 정압비열(Cp) = 0.24kcal/kg․K×4.2kJ/kcal
= 1.008kJ/kg․K ≒ 1.01kJ/kg․K
※ 공기의 단위체적당 정압비열(Cp) = 공기의 정압비열(Cp)×공기의 비중()
= 1.01kJ/kg․K×1.2kg/㎥ ≒ 1.21kJ/㎥․K
※ 공기의 정적비열(Cv) = 0.71kJ/kg․K
☞ 액체나 고체에서는 정압비열(Cp)과 정적비열(Cv)의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보통 ‘비열’이라 하고 쓰면 되고, 공기에서는 구분하여 공기의 정압비열(Cp)과 공기의 단위체적당 정압비열(Cp)로 구분합니다.
학습에 참고하세요.
추가해서 설명드리면
현열 계산시의 0.34 상수값, 잠열 계산시의 834 상수값을 적용하는 경우는 약식계산 방법입니다.
0.34는 다음과 같이 해서 나온 값으로
▸ 단위환산계수
※ 0.34 : 단위환산계수
= 공기의 비열×밀도×1,000(J/KJ)÷3,600(s/h)
= 1.01kJ/kg․K×1.2kg/m³×1,000(J/KJ)÷3,600(s/h)
= 0.336W․h/㎥․K
≒ 0.34W․h/㎥․K
※ 834 : 단위환산계수(0℃에서 물의 증발잠열 = 2,501kJ/kg 적용)
= 1.2kg/m³×2,501kJ/kg×1,000(J/KJ)÷3,600(s/h)
≒ 834W․h/m³
근사치에 의한 상수값이므로 약간의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약식으로 쓰는 경우에 활용합니다만
교재의 해설과 같이 푼 후에
1W=1J/s=3,600J/h=3.6kJ/h
1kW=3,600kJ/h 이므로
먼저 kJ/h로 계산을 한 후, 요구하는 단위가 W나 kW 일 때는 단위를 환산하는 방법으로 합니다.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환산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