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라는 하향의 등분포하중 때문입니다.
전단력도는 수평의 기준선을 지나가면 0이고, 기준선의 위쪽은 +, 기준선의 아래쪽은 -로 간주하는 간략한 그림입니다.
한국사람들은 숫자에 강하므로 w=2kN/m, L=10m라는 임의의 숫자를 대입해봅니다.
A지점의 수직반력은 2*10 / 2 = 10kN 이며, 전단력도(SFD)의 좌측기준선에서 상향으로 10이라는 파란색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A에서 우측의 C점쪽으로
1m 위치에서는 10-2*1= 8kN,
2m 위치에서는 10-2*2= 6kN,
3m 위치에서는 10-2*3= 4kN,
4m 위치에서는 10-2*4= 2kN,
5m 위치에서는 10-2*5= 0가 됩니다.
등분포하중이 만재되어 있는 단순보의 중앙점에서 전단력이 0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6m 위치에서는 10-2*6= -2kN,
7m 위치에서는 10-2*7= -4kN,
8m 위치에서는 10-2*8= -6kN,
9m 위치에서는 10-2*9= -8kN,
10m 위치에서는 10-2*10= 10kN이 되고, 여기서 B지점의 상향반력 10kN의 영향으로 수평의 기준선과 만나는 닫혀진 형태의 그림이 그려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