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시간 구할때 실선이 없는 더미만 있는 노드에서는 해당 더미는 백프로 넘버링 더비이며 결합점이 그 점이 아니라 더미가 향하는 결합점이 진짜 결합점이므로 그곳에서 여유시간을 계산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1. 실선이 하나 있고, 넘버링 더미가 하나 있다면 어느곳에서 여유계산을 해야 하나요?
2. 하나의 노드에 더미가 2개가 존재한다면 어느 지점에서 여유계산을 해야하나요?
3. 넘버링 더미와 로지컬 더미를 판별하는 팁 같은것이 있을까요...?
4. 혹시 하나의 노드에 넘버링 더미가 2개가 존재한다면 어느 결합점에서 여유계산을 해야 하나요
예를 하나 들자면 3-44페이지의 18번 문제 같은 경우 B작업에서의 여유를 구할때 더미가 E,F 두 곳을 향하고 있는데 E 결합점에서 계산한 것이 이해가 어렵습니다.
해설에서 2번 결합점에서 3번 결합점으로 더미를 연결하는 것은 E작업의 선행이 ABC 이기 때문에 BC가 작업 상호 연관을 위해서 더미로 엮어주는 로지컬 더미가 아닌가요?.. 또한 2번 결합점에서 4번 결합점으로 이동하는 것도 F작업의 선행이 BCD 이기 때문에 BC가 작업 상호 연관을 위해서 더미로 엮어주는 로지컬 더미로 보이는데 다른 문제들은 로지컬 더미와 넘버링 더미가 대충 감은 오는데 이 문제는 둘다 로지컬 더미로만 보입니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