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중에 선행작업의 개수가 다를 경우 적은 것 부터, 그리고 그 갯수가 다를 경우는 중복의 의미가 무의미 하므로 적은 갯수의 작업이 중앙에 오면 안된다. 라고 하셨는데 이게 거의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법칙인가요...??
예를 들어서 3-51베이지의 29번 문제에서 작업 ABC 묶고, DE묶고, FG, HI 이렇게 그룹핑 지어 놓고 작성해 나가는데 DE를 보면 D :AB / E :B 로 선행이 되어야 하는데 이럴 경우는 갯수가 작은 E 먼저 생각해야 하고 고로 E의 선행인 B는 ABC 중에 가운데 오면 안된다는 것이 예외가 있는것 같아서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것이 어떤 방식에만 적용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문제에서 작업이 1->2, 1>3 이런식으로 나온다면 어떤식으로 풀어야 하나요.. 그냥 그것들을 ABCD로 치환해서 풀어도 같은 결과값이 나오나요...??
ex) 3-59 2번 문제
공정표 작성법이 강의로 제가 이해한 바로는
1. 그룹핑한다.
2. 선행작업의 개수가 적은것부터 풀어가고, 개수가 적은 것은 개수가 다르므로 중복이 아니다, 고로 가운데 위치시키면 안됀다.
3. 선행작업의 개수가 같은 경우 중복된 작업은 가운데 위치시킨다.
이외에 다른 팁들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