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안녕하세요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신*규 등록일 2019.03.13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온도가 낮으면 공기량이 증가하는 이유가 온도가 높으면 공기량이 다 증발되어서 그런가요?

     

    2.빈배합이면 공기량이 증가하는 이유가 빈배합은 단위수량이 더 많은 배합이기 때문에 수량이 많으면 공기량이 증가하는 건가요?

     

    3.된반죽에서 진동다짐에 더 효과적인 이유가 뭔가요?

     

    4.기포제,발포제를 사용하면 공극을 발생시켜 오히려 내구성이 저하 되는 건 아닌가요? 그리고 단열화는 기포로 공극을 발생시키면 왜 단열화가 되는 건가요? 부착력 또한 공극을 발생시키면 마찰력을 감소시켜 부착력이 감소하는 거 아닌가요? 왜 증가하는지 모르겠습니다.

     

    5.미장공사 균열방지 대책으로 모르타르 정벌을 초벌보다 다소 빈배합으로 하는 이유가 뭔가요? 

     

    감사합니다.

  • 한규대 |(2019.03.14 02:03)

    답변입니다:

    1)질문 1과2의답변:온도가 높으면 시멘트의 분산작용이 빨라져서 빨리굳고, 유동성이 빨리 저하됩니다,그 과정에서 시멘트의 수화작용이 급격히 발생을하므로 공기기포가 깨집니다,또한 빨리 굳는것은 증발량이 많아지는 이유인데요,이 경우도 모세관 공극내의 공기기포가 파괴되는 원인입니다,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으면 공기기포가 없어지는 현상이 작아집니다,또한 시멘트의량이 많아져도 공기기포는 작아집니다.그래서 빈배합의 경우는 공기량이 많아지고 부배합의 경우는 공기량이 작아지는 검니다.

    2)3번 질문답변:된반죽은 유동성이 없으므로 콘크리트를 구석구석 골고루 균둥하게 충전하기 위해서 진동이 필요한 검니다,그리고 진공다짐은 공극을 제거하는 목적이 있습니다,진동을주면 공기량이 감소합니다.

    3)기포제,발포제 :공기기포는 콘크리트가 동결이 되었을때 그 팽창의 압력을 완화시켜서 균열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그래서 내구성이 큰 콘크리트,오래 사용이되는 콘크리트가 되는검니다.또한 발포제는 수소가스를 화학적으로 발생을 시키는 것인데요,이 기포가 많아지면 열전도율이 낮아지므로 단열성능이 커지구요,알루미늄분말과 아연분말 입자가 부착력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3)5번질문:반대로 시공을하면 정벌의 부착력이 커져서 바탕이 탈락됩니다,따라서 바탕에는 물을 뿌리고 부배합의 몰탈을바르고 마감으로 갈수록 빈배합으로 해주어야 탈락현상이 안 생김니다.참고 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