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압축강도에 비례합니다.
콘크리트압축강도가 높아지면 콘크리트 탄성계수도 높아지게 되며, 처짐은 탄성계수와 반비례관계에 있습니다.
교재의 314페이지와 247페이지를 동시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 압축철근량을 넣는 이유가 설계휨강도의 증가목적으로 초점을 맞추었을 때, 콘크리트의 폭이나 높이와 관련된 면적을 늘리게 된다면 압축철근량을 줄일 수 있다는 말로도 표현을 할 수 있겠습니다.
(3) 과대철근보라는 것이 인장측의 철근이 과대하다는 의미이므로 적정량의 인장철근을 압축철근쪽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콘크리트의 압축력+압축철근의 압축력)과 인장철근의 인장력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내력모멘트를 증대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4) 압축측 콘크리트와 인장측 철근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내력모멘트를 형성해야 하는데, 압축측 콘크리트가 파괴되고 있는데 인장측철근이 항복되지 않는 고강도철근을 쓰게 된다면 내력모멘트의 저하가 현격해지므로 취성파괴의 우려가 높아지게 됩니다.
(5) 부착과 정착에 관한 실험적인 내용들을 기준식으로 만든 것을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부착에 관련되어서는 교재의 460페이지, 정착에 관련해서는 교재의 461페이지의 내용을 참조해주시고 기준식에서 말씀하시는 내용이 분자쪽에 있는지 분모쪽에 있는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