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장이라는 것이 결국 벽면을 바르는 행위이므로 미장면적은 벽체면적을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단지 이 내용이 너무 단순해서 교과서들에서 언급을 하지 않는 것 뿐입니다.
235페이지 07번 문제는 조건에서 제원을 외벽간의 거리를 제시했음을 잘 관찰해주시기 바랍니다. 외부미장면적은 가로 5+15=20m에 *2이고, 세로는 6.5m인에 *2를 해주면 외벽전체의 길이가 산정되며 이 값에 벽높이 3.6m를 곱하면 외부미장면적이 됩니다. 여기에 W로 표현된 창문(Window)의 면적들을 빼주고, D라고 표현된 문(Door)의 면적들을 갯수에 맞게 빼주기만 하면 외부미장면적값은 완성됩니다.
내부 미장면적은 내벽면을 바르는 면적을 구한다고 생각하시고 창고A와 창고B를 구분해서 계산하면 그만입니다.
이때 창고A 내벽면의 가로를 계산할 때 5 - 0.29 - 0.19/2 의 의미는 5m의 거리에서 1.5B쌓기에 대한 벽두께 290mm를 m로 환산한 값 0.29m를 빼고, 내부칸막이벽 1.0B쌓기에 대한 벽두께 190mm를 m로 환산한 값 0.19m의 절반을 뺍니다. 절반을 빼는 이유는 창고A쪽의 안목간 거리를 산정하고자 함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나머지 내용도 [미장이라는 것이 어떤 면을 바르는 것이므로 면적의 형태로 산출한다]는 것을 토대로 도면의 수치를 뽑아내시는데 초점을 맞추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