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D/6라고 했다면 오류이며, L/6이 맞습니다.
(2)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를 계산하고,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를 계산하여 둘 사이의 대소관계를 비교해서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쪽이 더 크게 되는 경우가 되도록 구조기준이 2016년도에 개정되었습니다.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가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보다 작으면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를 적용합니다.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가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보다 크다고 할지라도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를 적용합니다.
가령, 교재의 5-66페이지의 CHECK6번 문제를 예로 든다면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의 값이 355,880N이 계산되었고,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의 값이 334,355N으로 계산되었습니다.
분명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쪽의 값이 더 크게 나타나므로 0.6F_y * A_gv + U_bs * F_u * A_nt의 값을 적용한다는 것이므로, 결국 이 문제가 출제된다면 과정은 보여주시되 결론은 항상 0.6F_y * A_gv + U_bs * F_u * A_nt쪽이 블록전단파단강도가 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3) 5-94페이지 우측의 학습POINT란의 회전지점에 대한 내용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실제의 보에서는 수평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수평반력이 0이 많습니다. 가령, 수평반력이 0이고 수직반력이 4라면 회전지점의 진짜 반력도 4가 됩니다.
그런데, 수평반력이 0이 아닌 경우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회전지점의 반력을 선정한다는 의미만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가령, 수평반력이 3이고 수직반력이 4라면 회전지점의 진짜 반력은 5가 된다는 정도입니다.
(4) 5-107페이지 16번 문제의 답만 각각 4개씩 표현해주시면 됩니다.
수치나 기호가 없는 문제를 수험생이 임의로 수치나 기호를 입력해서 문제를 풀어야 할 의무는 없으므로, 인장재와 압축재를 구분해 주시기만 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