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실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정*빈 등록일 2019.03.26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펀칭쉐어 면적 질문*

    수업 중 펀칭쉐어의 대책으로 지판을 대는데 그 양옆으로 뻗은 길이가 책에는 중심간 경간의 1/6 이라고 되어 있고, 수업내용에서 d/6 이라고 설명해주셨다가 그 다음은 L/6 이라고 하셨는데,,,

    1) d/6이 맞나요??중심간경간의길이/6 이 맞나요?? 

    *블록전단파단 질문*

    2)블록전단파단에 대해서 강의 내용 중 전단항복의 식만 알고 있으면 된다고 말씀하신 이유가 이해가 안됩니다ㅠ인장파단과 전단항복의 대소차이를 알아야 어느 단면이 지배하고, 그 지배하고 있는 단면에 파이를 적용함으로서 블록전단파단강도를 알 수 있는거 아닌가요??

    3)만약의 인장파단쪽과 전단항복의 두 식을 모두 계산해서, 전단항복 쪽의 값이 더 크게 나온다면 인장파단쪽이 지배하게 되서 파이를 인장파단쪽으로 고려해 블록전단강도를 계산해 주어야 하는건가요??

    4)시험이 나왔을 땐, 인장파단과 전단항복의 대소 차이를 계산해주는 계산식을 답지에 기재해 주어야 하는 건가요??

     *반력질문*

    1)지점반력은 수직,수평제곱의 합에 루트 값인데 필기 때는 수직 수평만 공부를 해서요...

    어떨때 이렇게 풀어서 표현을 해줘야 하는지 알고싶어서 질문드려요

    수평반력이 0이 아닌 모든 경우의 "지점반력을 구하라" 는 문제에는 전부다 저 식으로 대각선 방향의 진짜 지점 반력을 표현해 주어야 하는 건가요??

     *프랫과 하우트러스*

    교수님이 설명해주신 내용중에서 경사재와 수직재의 압축인장 관계에 대해 답지를 작성할때 그냥 답만 작성하면 되나요?? 풀이를 어떤식으로 작성해야 하나요ㅠ 그냥 프랫트러스의 경사재는 인장이고,수직재는 압축을 받는다. 이런식으로 서술해주면 되는 건가요..?

  • 안광호 |(2019.03.30 10:32)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D/6라고 했다면 오류이며, L/6이 맞습니다.

    (2)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를 계산하고,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를 계산하여 둘 사이의 대소관계를 비교해서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쪽이 더 크게 되는 경우가 되도록 구조기준이 2016년도에 개정되었습니다.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가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보다 작으면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를 적용합니다.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가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보다 크다고 할지라도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를 적용합니다.

    가령, 교재의 5-66페이지의 CHECK6번 문제를 예로 든다면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의 값이 355,880N이 계산되었고, 0.6F_y * A_gv + U_bs * F_u * A_nt 의 값이 334,355N으로 계산되었습니다.  

    분명 0.6F_u * A_nv + U_bs * F_u * A_nt 쪽의 값이 더 크게 나타나므로  0.6F_y * A_gv + U_bs * F_u * A_nt의 값을 적용한다는 것이므로, 결국 이 문제가 출제된다면 과정은 보여주시되 결론은 항상  0.6F_y * A_gv + U_bs * F_u * A_nt쪽이 블록전단파단강도가 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3) 5-94페이지 우측의 학습POINT란의 회전지점에 대한 내용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실제의 보에서는 수평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수평반력이 0이 많습니다. 가령, 수평반력이 0이고 수직반력이 4라면 회전지점의 진짜 반력도 4가 됩니다.

    그런데, 수평반력이 0이 아닌 경우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회전지점의 반력을 선정한다는 의미만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가령, 수평반력이 3이고 수직반력이 4라면 회전지점의 진짜 반력은 5가 된다는 정도입니다.

    (4) 5-107페이지 16번 문제의 답만 각각 4개씩 표현해주시면 됩니다.

    수치나 기호가 없는 문제를 수험생이 임의로 수치나 기호를 입력해서 문제를 풀어야 할 의무는 없으므로, 인장재와 압축재를 구분해 주시기만 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