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감사합니다.
추가 질문이 있어서요.
기둥늑근이 계산되는 이유는 이해가 충분히 가는데요..
만약, 따로 계산해서 단부철근개수를 7개로 했다면.. 톱바부분에 6개를 배치하고 난 후, 양단부에 철근배치가 문제가 되는거 같아요. 왜냐하면, 양단부에 각각 3개, 4개를 맞추려면 단부철근과 톱바철근의 간격이 한쪽은 360mm보다 크고 한쪽은 작게 되어.. 아래 그림처럼 불균등하게 배치되는데.. 이렇게 되도 괜찮은건가요?
I o---o---o-----o---o---o---o---o---o-o---o---o---o I
<--- 1.2m---><------- 2.1m ------><---1.2m --->
<------------------------ 4.5m ------------------------>
그래서, 제 생각엔 아래그림처럼 균등하게 철근을 배근해야 할 것 같고, 그렇다면, 철근간격이 모두 같으므로 기둥늑근처럼 계산해도 정답이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해서 다시 질문드립니다. (상부부근 간격은 모두 360mm, 슬라브안목간격은 4.5m) 소수점 0.5를 반올림해서 계산하니 정답보다 1이 크게 나오는게 포인트인것 같습니다.
I o---o---o---o---o---o---o---o---o---o---o---o---o I
<-------------------- 4.32m ----------------------->
<----------------------- 4.5m ------------------------>
이 문제 그냥 외워야 할까요? ㅠㅠ
==============================================
선생님 답변:
질문하신 철근갯수 산출시 길이/간격에 +1하는 이유는
2-65p 문제 보에서 늑근의 갯수 산출시는 (단부길이/간격+중앙부길이/간격+단부길이/간격 +1) 로 하여 산출한 이유는 단부와 중앙부가 철근의 간격만 다를뿐 연속하여 배근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산출한 이유 입니다.
그러나, 2-68페이지 예제의 슬라브 상부근 중 단부부분에서는 연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양쪽 단부가 각각이기 때문에 한쪽단부에서 "단부길이/간격" 으로 구하고, 양쪽이기 때문에 곱하기 2(양단부)하고 +1로 하여 교재에서처럼 구한 결과 입니다.
톱바부분은 +0으로 하여 산출한 이유는
주근 단부의 철근은 직선길이에서 "점"위치에 배근되기 때문에 +1로하여 산출하나, 톱바는 주근과 주근의 사이에 배근되는 "칸"위치에 배근되기 때문에 0으로 하여 산출한 결과입니다.
(교재 2-59p, 2.철근갯수 산정방법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