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위쪽이든 아래쪽이든 어느 한쪽만을 구할 때는 편의상 부호를 붙이지 않습니다. 굳이 부호를 붙인다면 위쪽이 +, 아래쪽이 -부호처리를 하면 됩니다.
그런데, 공학 분야의 내용은 방향성을 묻는 내용이므로 한쪽만을 구하는 예제나 문제들은 부호처리를 하지 않고 크기나 숫자만을 관심을 둡니다.
반면, 수평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위쪽과 아래쪽을 계산할 때는 반드시 위쪽을 +,아래쪽을 -처리를 해야 원하는 결과값이 나온다는 논리 정도입니다.
(2) 부등호 = 표시는 붙여도 그만 안붙여도 그만이며, 정확하게는 안붙이는 것이 맞겠습니다.
외력과 내력이 같아지는 경계점도 이미 위험한 상태라는 의미 정도와, 공학은 어차피 오차의 학문이라는 유명한 문구를 인용해보면 가장 근접한 수치를 찾는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될 거라고 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