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건축구조 필기 인강 중 7. 단면의 성질 - 단면 1차 모멘트 강의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김*지 등록일 2020.01.08 답변상태 답변완료
  • 7. 단면의 성질 - 단면 1차 모멘트 강의에서 15분쯤의 예제) 도심이 플랜지 하단과 일치한다면 폭B의 문제에서 교수님이 예시로 그리신 폭 20 높이 10의 그림으로 Ga Gb Gc를 구하며 Gc가 0이되며 도형의 중심을 지나는 위치에서 1차 모멘트를 구하면 0이나온다고 하신 부분에서,
    그리신 예제로 설명하며 Ga Gb를 구할 때는 Ga, Gb가 도심 아래에 있어도 - 부호를 붙이지 않았는데 왜 실제 예제로 설명하실 때는 중심과의 거리가 도심의 위아래 있을 때 + - 기호를 붙이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처음 Ga Gb에서 부호를 안붙인건 도심과의 거리기에 거리라는 개념이 부호를 붙이지 않아도 되는 단순 거리라고 이해했기 때문인데 제 생각이 잘못되었을까요???

    +

    추가적으로 하나더, 다음 예제인 옹벽 전도되는 문제에서 왜 부등호에 = 가 붙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안광호 |(2020.01.11 19:07)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위쪽이든 아래쪽이든 어느 한쪽만을 구할 때는 편의상 부호를 붙이지 않습니다. 굳이 부호를 붙인다면 위쪽이 +, 아래쪽이 -부호처리를 하면 됩니다.

    그런데, 공학 분야의 내용은 방향성을 묻는 내용이므로 한쪽만을 구하는 예제나 문제들은 부호처리를 하지 않고 크기나 숫자만을 관심을 둡니다.

    반면, 수평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위쪽과 아래쪽을 계산할 때는 반드시 위쪽을 +,아래쪽을 -처리를 해야 원하는 결과값이 나온다는 논리 정도입니다.

    (2) 부등호 = 표시는 붙여도 그만 안붙여도 그만이며, 정확하게는 안붙이는 것이 맞겠습니다.

    외력과 내력이 같아지는 경계점도 이미 위험한 상태라는 의미 정도와, 공학은 어차피 오차의 학문이라는 유명한 문구를 인용해보면 가장 근접한 수치를 찾는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될 거라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