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동지점은 상향의 수직반력, 회전지점은 상향의 수직반력과 우향의 수평방향으로 화살표를 그려놓고 계산을 시작합니다. 계산의 결과값이 +이면 수직반력은 상향이 맞다는 의미이고 -이면 수직반력은 하향이라고 방향을 바꾸어주시면 되겠습니다.
비슷하게 계산의 결과값이 +이면 수평반력은 우향이 맞다는 의미이고 -이면 수평반력은 좌향이라고 방향을 바꾸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지점반력 계산의 기본적인 약속이고 순서를 잘 지켜주세요.
(1) 9번문제에서 A지점의 수직반력을 상향으로 가정해놓고 B점에서 모멘트평형을 적용하면 A지점의 상향의 화살표의 회전방향은 B점기준으로 시계회전이므로 +입니다. 계산의 결과가 -가 나왔으므로 A지점의 수직반력은 상향이 아니라 하향이라는 뜻이 됩니다.
(2) 10번 문제의 그림에서 수평의 50kN은 오타이며 5kN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A지점의 수직반력을 상향으로 가정해놓고 B점에서 모멘트평형을 적용하면 A지점의 상향의 화살표의 회전방향은 B점기준으로 시계회전이므로 +입니다. 계산의 결과가 -가 나왔으므로 A지점의 수직반력은 상향이 아니라 하향이라는 뜻이 됩니다.
(3) 10번 문제는 B지점의 수직반력을 구하기 위해서 A점에서 모멘트평형조건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B지점은 지표면에 수직이 아니라 벽면에 수직이라는 것을 주의깊게 관찰합니다.
A점에서 모멘트평형조건을 적용하면 B지점의 수직반력을 (육안으로는 수평처럼 보입니다) 우향으로 가정해놓으면 A점을 기준으로 시계회전이므로 +로 모멘트 계산을 합니다. 그런데 결과값이 -가 나왔으므로 B지점의 수직반력은 좌향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원칙을 세우지 않으면 혼동될 수 밖에 없으므로 위에서 설명드린 기본원칙을 잘 지켜주시기만 하면 그만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