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서 물시멘트비가 작습니다.(50%,일반:60~65%)그리고 규정된 슬럼프값도 작아요.(15cm,일반:18cm) 그리고 단위시멘트량(결합재량)이 일반보다 많이 들어감니다,(부배합임)그러니 당연히 결합재가 많아지니까 점성이 커지구요,거기에 스럼프도 일반보다 작으니까 빨리 굳지요,그러니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슬럼프의 변화값이 크게 발생이 되어서 슬럼프값이 일반 콘크리트보다 빨리 작아지는 검니다,(슬럼프의 감소가 큼,슬럼프가 빨리 감소됨.)이 내용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1)슬럼프값이 작다고 슬럼프의 저하(감소)가 커진다 이렇게 단정을 지을 수는 없어요,왜냐면 슬럼프저하는 운반시간,외기기온,습도등 천후에도 영향을 받거든요,그러니까 시방서에 고강도는 가능한 빨리 운반해서 타설하라고 되어있어요,,,부배합 콘크리트는 다 마찬가지 입니다,운반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는 굳어지면 안되니까 응결지연제를 넣습니다,
2)4번째 질문하신 부분은 전문적인 문에서나 취급을하는 내용입니다,/굳이 시험보시는데 그런것까지 아실 필요는 없구요,/*콘크리트는 소요의강도,내구성,시공성이보장되는 범위에서는/ 슬럼프,시멘트량,물량,잔골재율,물시멘트비,타설시간,내외부의 온도차이,수화열,/이런것들은 되도록 작게 해야합니다,골재의 실적률은 크게하구요,,,실적률이 크면 단위수량,시멘트량이 작아지게 되거든요,,,이런내용은 정리해두실 필요가 있어요...
3)5번째 질문의답은 책에 나와 있어요,,p213 중간에 슬럼프값의 표준값이 있는데요,그표 밑부분에 주)1),2)를 읽어보세요,,,슬럼프값은 구조물의 종류,부재의 모양,칫수,배근상태와 충전성,다짐범위,운반시간등을 고려하여 정한다고 되어있어요,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