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39 2번, p93 174번의 보기4: 공동주택은 고층화에 따른 <건축비가 상승>되지만 <단위면적당 절감>된다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문제2번에 2번의 해설에서 <단위면적당 건축비가 상승>된다고 적혀있어 질문합니다

2) p73 41번 보기 1번도 틀린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가족적인 융통성이 보장되는 기준>이 아니라 <보장될 수 없는 기준으로 > 나와야 정답이 2번이 되지 않을까합니다
3) p96 195번 : 해설에서 계단실형은 편복도형에 비해 <단위주호의 독립성이 양호하며, 일조 채광 통풍조건이 양호하다>, 또한 편복도형에 비해 <건축 유효면적이 크기>때문에 최근에 많이 채용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러면 195번 정답이 1,2 둘다 되는 것이 아닌지 여쭙고 싶습니다
4) p102 236번 : 스킵 플로어의 변형으로 엘리베이터의 정지층에 집중적으로 공동시설을 배치한 형식이 복도형이다 - 복도형이 주호가 많이 배치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이용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5) p110 286번 : 근린주구 인구수가 8000~10000명이라는 설명이 이론설명에는 없었는데 근린주구, 근린분구, 인보구 각각 몇명인지 알 수 있을까요?
6) p110 288번 : 1단지주택은 근린주구를 말하는 것인가요? 한솔 건축계획 어느 부분을 참고하면 될까요?